제약업계가 리베이트 후폭풍에 바람 잘 날 없다.
최근 철원 리베이트 사건 등에 연루된 제약사 7곳이 약가인하 조치를 받은데 이어 울산경찰서는 지난 4월부터 시작된 의사-제약사 간 리베이트 수사를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울산경찰서는 쌍벌제 이후 의사-제약사 간 리베이트 정황을 포착, 이와 관련된 의사와 제약사 영업사원을 최근 추가로 불구속 입건하면서 향후 상당한 후폭풍이 예고하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울산경찰서는 쌍벌제 이후 의사 4명이 제약사로부터 수십만원에서 수백만원 상당의 회식비를 지원받은 정황을 포착했다.
이에 경찰은 의사들과 이와 연관된 제약사 직원 5명을 불구속 입건해 조사를 벌이고 있다. 혐의가 사실로 입증되면, 쌍벌제 이후 첫 처벌 사례와 함께 약가인하 조치가 이뤄진다.
경찰은 이와 함께 2006년부터 올해 초까지 울산 지역에서 근무한 공중보건의 3명과 제약사 직원 5명에 대해서도 리베이트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업계의 고민은 날로 깊어지고 있다.
쌓여있는 리베이트 사건들이 하나하나 사실로 밝혀질 경우, 해당 업체는 감당할 수 없을 만큼 큰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앞서 약가인하 통보를 받은 제약사들은 또 다른 불법 행위가 적발되지 않을지 좌불안석이다. '리베이트-약가 연동제'는 2년 내 리베이트 행위가 재적발되면 최대 44%까지 약값이 인하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리베이트 제약사'라는 오명으로 의사들의 처방 기피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도 큰 불안요소다.
한 관계자는 "울산 리베이트 사건에 연루된 국내외 제약사만 15곳이다. 철원 리베이트 사건에 적발된 6곳이 중복되지 말라는 법이 없다. 시점이 리베이트-약가연동제 이후인 점을 고려하면, 중복 약가인하 가능성도 있다. 한숨만 나온다"고 토로했다.
다른 관계자도 "쌍벌제 시행이 6개월을 넘으면서 경찰 등에서 첫 적발 사례에 대한 욕심이 있는 것 같다. 실제로 경찰청은 특진까지 내건 상태다. 이렇다보니 다른 산업에서는 인정되는 통상적 행위도 이 잡듯이 뒤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과거 관행인 리베이트 때문에 업계에 바람 잘 날 없다"고 한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