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제약·바이오
  • 국내사

찬밥 신세이던 영양제 시장…"하모닐란이 판 키웠다"

이석준
발행날짜: 2014-04-28 06:05:31

영진약품 최준 차장 "100억 돌파…제품력·가격 모두 잡았다"

사실 그렇다. 국내에서 영양제(General Nutrients) 시장은 불과 몇 년 전만해도 소위 찬밥 신세였다. 2011년 전체 시장이 50억원 수준이었으니 말 다했다.

하지만 뇌졸중 등 영양 공급이 부족한 중증질환 환자가 늘면서 영양제 필요성이 부각됐고 시장은 급속도로 커졌다. 지난해에는 286억원(IMS 데이터 기준)의 시장을 형성했다. 2011년과 비교하면 괄목할 만한 성장세다.

국내에서 영양제 시장을 주도하는 곳은 영진약품이다. 이 회사의 경장영양제 '하모닐란'은 지난해 100억원을 돌파했다.

전체 시장의 3분의 1 이상이 '하모닐란' 몫인데 바꿔말하면 영진약품이 찬밥이던 영양제 판을 키웠다고 봐도 무방하다.

영진약품 마케팅부 최준 차장(약사)과 박정현씨를 만나 시장 1위 품목 '하모닐란'만의 차별성을 들어봤다.

최준 차장(좌), 박정현씨.
영양제 시장에서 하모닐란이 독보적이다. 간단한 제품 소개를 부탁한다.

영진약품은 지난 2002년 국내 최초로 경장영양제(누트릴란)를 국내에 도입했다.

2010년 들여온 하모닐란은 전문의약품 최초 식이섬유 함유 경장영양제로 제품력은 물론 보험 급여로 환자 부담까지 줄였다.

하모닐란은 성적은 이런 장점에 10년이 넘는 경장영양제 시장 경험 때문이다.

제품 특징은 크게 4가지다.

RTH(Ready To Hang) 형태로 사용이 간편하며, 오염이 적어 세균에 의한 부작용 발현을 최소화했다.

하모닐란에 함유된 대두피 식이섬유는 설사 발현율을 감소시켜주며 단백질 함량이 높아 수술 후 혹은 질병 중 환자 단백질 필요량을 충족시켜 준다.

항산화효과를 지닌 비타민E를 다량 함유해 환자의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줄 수 있다.

아무래도 영양제는 영양 개선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질환별 영양 개선도를 알아본 데이터가 있는가.

그렇다. 3상 임상에서 각 질환별 영양개선도를 평가했다. 경도 개선 이상의 효과가 매우 높게 나타났고 특히 소화기질환 환자에서의 영양 개선 효과가 93.9%로 나타나 뛰어난 효과를 보여줬다.

하모닐란에만 있는 식이섬유는 어떤 역할을 하나.

경장영양제는 뇌졸증 등 중증 환자가 사용한다. 대부분 누워서 생활한다. 때문에 위장관 기능이 약해져 있다. 소화기능이 떨어진 상태인데 이때 경장영양제 섭취시 설사가 발생할 수 있다.

식이섬유는 변을 형성하는 자체에서 변의 중량을 늘려주는 기능이 있다. 말하자면 촉매 역할을 해서 주변 노폐물을 뭉치게 해준다. 식이섬유가 들어가면 변 중량이 늘어가게 된다.

실제 위암환자 67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에서 하모닐란과 식이섬유가 없는 제품 간이 설사발현율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메디푸드, 그린비아, 뉴케어 등 식품과의 차이점은 뭔가.

식품과 경장영양제와 같이 기본적으로 영양 개선에 도움이 되는 좋은 제품들이다.

다만 차이점은 품질 문제를 들 수 있다. 의약품은 제조과정, 품질 관리, 보관, 유통 등이 체계적이고 엄격하게 이뤄진다. 또 의약품은 허가를 위해 임상을 거친다.

가격도 차별화가 될 수 있다고 보여진다.

그렇다. 하모닐란은 전문의약품으로 급여 적용을 받는다. 식품도 식대급여로 보험이 인정되지만 차이가 크다. 일례로 하모닐란 원외처방시 암환자는 5%만 부담을 하면 되지만 식품은 보험 급여가 안된다.

정맥영양제와 비교해 경장영양제가 갖는 장점은

정맥영양제를 사용하면 장기능이 퇴하 될 수 있다. 반면 위장막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는데 경장영양제는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세계적으로 영양제 시장은 정맥영양제(Parenteral Nutrition, PN) 보다 경장영양제(Enteral Nutrition, EN)를 더 사용하고 있다.

국내는 아직 정맥영양제 시장이 크지만 경장영양제의 추월은 기정사실화다. 하모닐란은 고단위 단백질이 함유됐다.

질병 중에는 단백질 요구량이 증가하게 된다. 비단백영양질소라고 해서 전체 칼로리에서 단백질 함유량이 스트레스 상태에서 중요하다. 회복 속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영양제 사용 가이드라인이 있나.

ASPEN 가이드라인을 보면 7일 이상 경구 섭취가 불충분하거나 체중의 10% 이상 감소할 경우 영양 실조(malnutrition)로 진단한다.

영양 실조 환자에게는 적절한 영양과 음식을 권하며 적절한 구강 섭취(oral intake)를 할 수 없는 경우는 먼저 장관 이식(enteral tube feeding)을 실시한다.

경장영양제 단독으로 적절치 않을 경우 정맥영양제와 병용을 고려하며 경장영양제를 피해야 하는 환자는 정맥영양제를 단독으로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