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급여 의약품 인생 10년째. 이쯤되면 처방 현장에서 잊혀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지난해 73억원 어치가 처방됐다. 전년(46억원) 대비 1.5배 이상 늘은 수치다. 분명 쓰임새가 있다는 소리다.
2006년 허가 후 횟수로 10년째 비급여와 연애중(?)인 골다공증약 '포스테오(테리파라타이드)' 얘기다.
최근 중중 골다공증 환자 관리가 화두로 떠오르면서 '포스테오' 급여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현 상황은 나쁘지 않다. 이미 보건복지부는 '포스테오' 급여 재신청 절차에 긍정적인 의사(이명수 새누리당 의원 2014년 국정감사 질의 내용 답변)를 밝힌 바 있다.
또 대한골다공증학회 등 유관 학회도 '포스테오' 보험 필요성을 꾸준히 어필하고 있다.
분위기는 또 한 번 형성되고 있다.
오는 26일 박인숙 의원실은 중증 골다공증 보장성 강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를 연다. 주관은 대한골다공증학회가 맡았다.
후원도 대한골대사학회, 대한척추외과학회, 대한고관절학회, 한국여성건강 및 골다공증재단,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등이 총출동한다.
의원실은 "고령 인구의 주요한 건강 문제로 골절 고위험 중증 골다공증에 대한 정책적 관리 및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가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토론회에서는 '포스테오' 급여 관리 논의도 있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 약이 뼈 생성을 촉진시키는 세계 최초의 골 형성 촉진제로 처방 현장에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포스테오'는 미국, 유럽 등 의약품 선진국에서는 급여 처방이 이뤄지고 있다.
골다공증성 골절을 경험해 추가 골절 위험이 높은 중중 골다공증 환자에게 주로 쓰이고 있다.
한국릴리는 하반기 '포스테오' 급여 재신청 절차에 들어간 상태다.
그간 릴리는 정부와의 약값 줄다리기 끝에 자진취하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급여화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다시 '포스테오' 보험 작업에 돌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