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정책
  • 제도・법률

심뇌혈관 사망 일순위 급성심정지 연구 "10년간 63억 투입"

이창진
발행날짜: 2016-04-12 12:09:07

질본, 2016년 정책연구 공고…"조기발생 예방 정책·가이드라인 설정"

심뇌혈관 질환 최대 사망원인 중 하나인 급성심장정지 예후예측을 위한 연구가 장기 프로젝트로 63억원이 투입돼 주목된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를 통해 2016년도 1차 추가 정책연구 용역사업을 공고했다.

이번 정책 연구 중 최다 금액은 '급성심장정지 발생 및 역학적 위험요인 예후예측을 위한 환자 코호트 구축'으로 3년간 총 13억 8500만원이다.

현재 급성심장정지는 심뇌혈관질환 중 치명률(95% 사망, 연 3.1만건 발생)이 가장 높으며, 우리나라는 아시아 국가에 비해 7~10세 빨리 발생(한국 63.5세, 일본 71.7세, 대만 70.5세)해 조기사망의 보건학적 부담이 심각한 상황이다.

질본은 급성심장정지 발생과 사망, 장애 병태생리 위험요인을 파악해 고위험 인구집단의 선별 및 포괄적인 공중보건학적 자료수립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우선, 올해부터 3년차 연구를 통해 환자등록체계 확대 운영과 잠재적 생물학적 생체표지자 연구, 조기발생 위험인구 대상 환자-대조군 연구, 위험요인별 심장정비 발생 관련성 분석 및 위험집단 규명 등을 수행한다.

이어 2025년까지 총 10년차 연구에 총 63억 8500만원을 투입해 급성심장정지 사망과 장애 위험요인 규명, 예측모형 개발 등 급성심장정지 보건관리체계 구축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급성심장정지 연구수행 체계 모식도.
만성질환관리과 관계자는 "급성심장정지 조기 발생 예방과 보건관리 등 보건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라면서 "생존 환자의 장애 실태와 삶의 질을 파악해 관련 대책과 가이드라인 설정에도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 한국인 유래 원시세포 에피유전체 정보생산(7억 5600만원), 국내 청소년 적혈구항원 조사(2억원), 아밀로이드증 임상네트워크 운영(2억 8000만원), 국가건강검진 건강위험평가(1억원) 등 총 26개 연구과제를 공고했다.

연구 참여 신청자는 정책연구용역 사업 제안서를 5월 16일까지 질병관리본부 연구기획과(T043-719-8027)에 제출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