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중기보장성 강화 계획 중 2018년 병적 고도비만 수술치료 건강보험 적용 항목이 있다. 내년이다. 당연히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급여화에 발맞춰 인증제도도 같이 시행하려고 한다."
대한비만학회는 7일 서울 쉐라톤디큐브시티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고도비만의 유일한 치료는 수술이라고 밝히며 비만수술의 급여화를 촉구했다.
비만학회 베리아트릭위원회 이주호 이사(이대목동병원 외과)는 "만약 어느 시점에 가서 인류 수명이 떨어진다고면 비만 때문일 것이라는 예측을 할 정도로 비만은 중대한 질환"이라며 "국가가 관리하고 책임지는 것은 이미 했어야 할 문제"라고 운을 뗐다.
이주호 이사에 따르면, 2015년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보면 고도비만과 초고도비만 환자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체질량지수(BMI)가 30이상인 고도비만이 5년새 거의 1.59배 늘었고 초고도비만인 35이상이 2.64배 급증했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고도비만은 170만명, 초고도비만은 17만명에 달한다.
이 이사는 "특히 20대와 30대, 즉 사회적 원동력이 되는 연령대에서 증가율이 월등히 높다"며 "청소년 비만도 또하나의 문제가 되고있다. 젊은층 고도비만율이 급증하고 있다는 것은 20~30년 후 심각성을 다시한번 이야기해주는 지표"라고 우려했다.
BMI 35이상의 초고도 비만은 어떤 치료법으로도 해결할 수 없다는 게 비만학회의 입장.
이 이사는 "꽤 오래전부터 정부는 고도비만의 심각성을 알고 어떤 대책을 내놔야 할까 고민하고 있었다"며 "고도비만의 유일한 치료는 수술"이라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수술적 치료의 유용성에 대한 논란은 더이상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외과계 학술단체뿐만 아니라 비만과 대사질환을 다루는 내과계 유수의 학술단체도 이 수술의 유용성을 인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2014년 고도비만 수술의 급여화에 브레이크가 걸렸다. 바로 가수 신해철 씨의 죽음이다.
이 이사는 "당시 사건으로 비만수술은 눈에띄게 줄었다"며 "2014년 889건 수준이었는데 2015년 459건으로 수술 빈도가 4분의1 정도 줄었다. 비만수술에 대한 인식과 내용, 공감대가 없는 사회 실정에서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라고 말했다.
비만학회는 자정의 일환으로 외과의사와 의료기관 인증제도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외과의사가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외과 전문의로서 상급의 복강경 위장관 수술이 가능 ▲학회의 정회원으로 정기 학술대회 참여 ▲학회주관 연수교육 이수 ▲복강경 수술 및 비만대사 수술의 경험이 있어야 한다.
의료기관은 ▲비만대사 수술센터 ▲환자교육 프로토콜 ▲간호사, 영양사 등 인력의 확보 ▲전문설비 및 기기 ▲중환자실, 내시경/중재 영상 설비 ▲응급상황 시 연락/이송체계 ▲학회의 수술환자 resgistry에 참여 등이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이주호 이사는 "수술효과를 극대화하고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학계가 자체적으로 정화 노력을 한다면 국가 정책이 뒷받침이 돼야 한다"며 "인증제도와 보건정책을 연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비만은 젊은층, 저소득층에서 급속히 늘고 있고 사회적 비용이 막대하다"며 "비만은 개인의 책임이 아니고 국가 사회적 문제라고 인식해야 할 때다.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대책을 마련해 대국민 홍보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