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이식 생존율이 이식 환자 3명 중 2명이 5년 이상 생존한다는 결과가 나와 말기 폐부전 환자들의 희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아산병원 폐이식팀 박승일 교수팀(김동관, 심태선, 홍상범 교수)은 17일 "2008년부터 지난 해 말까지 폐이식을 받은 환자 41명을 분석한 결과 5년 생존율 65.5%를 기록해 국내 폐이식 생존율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높였다"고 밝혔다.
1년, 3년 생존율도 각각 81.4%, 76.9%로 그동안 간이나 심장 등 타 장기에 비해 생존율이 낮아 이식수술을 망설였던 말기 폐부전 환자들에게 큰 희망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결과는 국내 폐이식 성적을 모두 모아 둔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NOS)의 1년 생존율 55.3%, 3년 생존율 47.6%, 5년 생존율 44.8% 와 비교했을 때 월등하게 뛰어난 성적이다.
특히 전 세계 유수 폐이식센터들의 성적인 국제심폐이식학회(ISHLT)의 1년 생존율 85%, 3년 생존율 67%, 5년 생존율 61%와 비교했을 때 더 높은 성적을 보이고 있다.
국내 폐이식 환자들은 수술 전 장기간의 인공호흡기 사용이나 체외막형산화기(ECMO)를 사용하는 비율이 외국에 비해 월등히 높다.
중증 환자의 빈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인 수준의 폐이식 생존율을 보고하게 된 이유를 집도의들의 누적된 수술 경험과 수술 전후 상당 기간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제공되는 수준 높은 중환자실 집중관리로 서울아산병원 폐이식팀은 꼽았다.
또한 퇴원 후 외래에서 주의깊게 관찰하고 합병증이 발생했을 경우 조기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등 전체적으로 폐이식 환자를 위한 다학제간 진료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았기 때문이라고 폐이식팀은 분석했다.
폐는 인체 내 산소를 공급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심장이나 간, 신장 등 다른 장기와는 달리 폐는 호흡과정 중 지속적으로 외부 공기에 노출되어 감염의 위험성이 높고 이식시 거부반응도 심해 지금까지 폐이식 생존율이 높지 않았다. 또한 뇌사자의 이식 가능한 폐를 찾기도 힘든 현실이라 다른 장기 이식에 비해 이식대기 기간도 길다.
폐이식을 받기 위해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에 이식대기자로 등록하고 기다리는 환자가 2010년부터 2016년까지 한 해 평균 80명에 가깝다. 해가 바뀔수록 이식 건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전체 이식등록자의 64% 정도만 뇌사자로부터 이식을 받는 셈이다.
폐이식 수술을 받은 41명의 환자를 보면 남성이 27명, 여성이 14명으로 남성이 월등히 많았다.
나이는 50대가 11명으로 전체 환자의 26.8%를 차지했고 40대가 9명, 60대와 30대가 7명으로 뒤를 이었다. 원인 질환으로는 폐가 딱딱하게 변해 폐 기능을 상실하여 사망에 이르게 되는 특발성폐섬유증 환자가 16명으로 가장 많았다.
직접적인 사망원인 중에서 폐이식 거부반응에 의한 사망은 없었다. 이는 거부반응이 발생해도 외래 혹은 입원을 통해 환자가 적절하게 관리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폐이식팀 김동관 교수(흉부외과)는 "간이나 심장 등 타 장기 이식 생존율은 이미 세계 의료계를 선도하고 있지만 국내 폐이식 성적은 지금까지 저조했던 것이 사실"이라면서 "연구결과 폐이식 생존율이 세계 유수센터들과 대등한 것으로 분석돼 말기 폐질환 환자들에게 큰 희망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폐이식 생존율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 올릴 수 있었던 것은 수술 후 출혈이나 합병증을 크게 줄였고, 호흡기내과, 흉부외과, 마취과, 감염내과 등 폐이식 환자를 중심으로 한 폐이식팀의 팀워크와 유기적인 다학제 진료시스템 구축으로 환자들의 질 높은 통합관리가 가능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폐이식팀 홍상범 교수(호흡기내과)는 "모든 환자들은 이식수술 후 야기되는 거부반응 때문에 면역억제제를 꾸준히 복용해야 한다. 이식 후 여러 가지 합병증이 생길 수 있는데 면역억제제의 적절한 조절과 꾸준한 호흡재활 등 원칙에 따른 정확한 관리를 통해 폐이식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었다"고 밝혔다.
폐이식은 말기폐질환 즉, 폐섬유화증, 만성폐쇄성폐질환, 폐고혈압, 골수 이식 후 폐에서 발생한 숙주반응 등으로 극심한 호흡곤란을 겪고 있는 경우 대상이 되며, 완치되지 않은 암의 경우에는 제외된다.
병든 폐를 절제하고 뇌사자로부터 얻은 폐를 이식하는 폐이식은 가급적 양쪽 폐를 동시에 이식한다. 간 이식의 경우 간은 재생능력이 있어 일부분만 하는 경우가 많은데 폐는 뇌사자의 양쪽 폐를 이식하는 것이 폐 기능의 회복이나 장기 생존에 훨씬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