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정책
  • 제도・법률

"응급의료, 외상·심뇌혈관·소아·정신 전문화"

박양명
발행날짜: 2018-02-09 10:11:13

정부 용역 결과 공개…경증환자 위한 응급외래제도·경험평가 도입

응급의료체계를 외상, 뇌졸중, 급성심근경색, 소아, 정신 등 전문화된 트랙으로 분리해 구축해야 한다는 정부용역 결과가 나왔다.

중장기적으로 경증환자를 위한 응급외래제도, 환자경험평가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김윤 교수
연구책임을 맡은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김윤 교수는 9일 서울대 치과병원에서 열린 응급의료 중장기 발전방안 공청회에서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진은 응급의료체계의 추진 방향은 크게 7가지로 제시했다.

▲119구급대의 환자 평가 및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률 향상 ▲외상치료체계 지역화 및 권역별 이송체계 구축 ▲중증응급환자 치료 인프라 구축 ▲취약 인구집단 중증응급환자 치료 인프라 구축 ▲응급의료의 사회안전망 기능 강화 ▲환자 중심 안전하고 편리한 응급의료 서비스 구현 ▲시도 지자체의 응급의료에 대한 권한과 책임 강화 등이다.

외상치료체계 지역화를 위해 시도 권역응급의료위원회 산하에 권역외상위원회를 설립해 지역 사정에 맞게 치료체계를 구축하고 권역별로 중증외상환자 신속이송지침을 개발, 운영한다.

김 교수는 "권역외상센터로 가기에는 너무 멀 때 외상팀을 갖춘 권역응급센터로 가게 한다든지 지역 상황에 맞는 지침을 개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구진은 외상응급체계 개편으로 예방가능 외상 사망률이 15% 이하로 감소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 뇌졸중, 급성심근경색, 소아응급환자, 정신응급의료체계 구축을 주장했다.

이들을 적절하게 치료할 수 있는 질환별 권역, 지역 센터를 지정하고 기능적으로 진료수준을 나누는 식이다.

김 교수는 "환자 중증도 수요를 고려해서 모든 환자들이 지역 어디서든지 골든타임 안에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기능별로 권역과 지역 센터를 나누는 기준을 구체적을 제시했다. 일례로 뇌졸중 권역센터는 24시간 수술이 가능해야 하고, 지역센터는 24시간 막힌 혈관을 뚫어주는 시술을 갖춰야 한다.

정신응급의료체계는 정신과 응급환자와 자살시도자에게 정신질환과 함께 외상 등 동반된 신체질환에 대하 적절한 응급진료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응급실에서 전문적인 정신응급서비스를 제공하고 자살 시도자 관리를 통해 자살 시도자의 자살 재시도에 의한 사망률을 5%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게 연구진의 기대다.

환자 중심의 안전하고 편리한 응급의료서비스 구현을 위해 응급외래제도와 의료지도센터, 응급환자경험평가가 대안으로 나왔다.

김 교수는 "응급환자경험평가는 현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하고 있는 입원환자 경험평가 제도처럼 설문조사 응답결과 바탕으로 하는 정량적 평가라기 보다는 정성적 방안 평가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응급실을 찾은 환자를 나중에 일부 모아 환자들이 어떤 경험을 했고, 어떤 부분이 개선되기 원하는지 등 응급의료 질 개선을 위한 병원의 일상적인 활동으로 정착시켜 나갸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