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미상의 뇌경색이 발생한 환자 중 심장에 선천적인 구멍(난원공)이 있는 경우 약물치료보다 심장의 구멍을 막는 시술을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은 26이 "신경과 김종성 교수와 심장내과 송재관, 박승정 교수팀이 2011년부터 7년 간 난원공 개존증으로 인해 뇌경색이 발생한 환자 450명 중 고위험군을 선별하여 구멍을 막는 시술과 약물치료를 비교한 결과, 난원공을 정확하게 막는 시술을 하는 것이 뇌경색의 예방에 더 효과적임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고위험 난원공 개존증을 갖고 있는 경우 내과적 약물치료만 받은 환자들은 뇌경색 재발률이 13%로 나타났지만, 난원공 개존증을 기구를 이용해 정확히 막은 경우 뇌경색 재발이 전혀 발생하지 않은 것이다.
이번 연구는 30년 전 난원공 개존증이 뇌경색의 원인 중 하나로 처음 밝혀진 이후로 전 세계적으로 논란이 되어 온 난원공 개존증의 치료 방법에 관한 의문에 해답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최근 미국 플로리다에서 열린 미국심장학회 임상 발표에 이어 미국심장학회지에 게재돼 의학적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송재관 교수팀은 2011년 9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총 1715명의 뇌경색 환자 중 경식도심장초음파를 통해 난원공 개존증이 발견된 450명의 환자들을 분석했다.
그 결과 고위험군으로 선별된 환자는 175명이었다.
그 중 연구에 참여한 환자는 120명이었고, 60명은 난원공을 막는 시술을 받았고, 나머지 60명은 항응고제 등을 사용한 약물치료만 받았다. 약물치료를 받은 그룹의 평균연령은 54세였으며, 시술을 받은 그룹의 평균연령은 49세였다.
경식도심장초음파는 초음파가 장착된 내시경기구를 식도를 통해 넣어 심장의 상태를 가장 가까운 곳에서 면밀하게 관찰하는 검사방법이다.
연구팀은 이 경식도심장초음파 검사로 난원공의 구조와 기능을 평가해 △심장구멍의 크기가 2mm이상이고 △심방중격에 동맥류가 발생했거나 △심방중격의 운동성이 활발한 경우 실제 뇌경색의 위험도가 높은 고위험군으로 분류했다.
지난 2010년에는 서울아산병원의 뇌졸중팀, 심장영상팀, 심장중재팀이 함께 ‘경식도심장초음파’ 검사로 난원공 개존증의 구조를 분석해 뇌경색의 위험도가 높은 고위험군을 분류할 수 있다는 연구를 발표해 심장학계에 주목을 받았다.
모든 난원공 개존증 환자보다 고위험군에서 약물치료보다 난원공을 정확하게 막는 시술을 시행할 때 뇌경색의 재발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하며 난원공 개존증의 치료에 대한 논란에 해답을 제시하게 된 것이다.
송재관 심장내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뇌경색이 다시 재발하지 않도록 난원공 개존증을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에 대한 해답으로 난원공 개존증의 치료 지침을 바꿀 중요한 결과"라면서 "뇌경색의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상황에서 고위험 난원공 개존증이 발견된 환자라면, 정확하게 난원공을 막는 기구 삽입 시술을 통해 뇌경색 재발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