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의료진이 환자의 흡연 기간이 길수록 폐암 표적치료제(EGFR-TKIs)인 이레사(gefitinib), 타세바(erlotinib) 등의 약물의 효과가 떨어진다는 연구를 발표해 주목된다.
건국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김인애 교수는 최근 폐암치료와 흡연기간의 연구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혔다.
김 교수는 진행성 폐선암(3-4기) 중 EGFR 유전자 변이가 진행돼 EGFR-TKIs 약물 치료를 받는 건국대병원의 폐암환자 총 14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환자그룹은 ▲무흡연자(91명) ▲10년 이하 흡연자(12명) ▲11~30년 흡연자(22명) ▲30년 이상 흡연자(17명) 등 흡연량에 따라 4그룹으로 나눴으며, 무진행생존기간(PFS, progression-free survival)과 전체생존기간(0S, overall survival)을 분석했다.
EGFR-TKIs 는 폐선암 3-4 기에 사용하는 먹을 수 있는 항암 치료제로 효과가 좋고 기존에 나와 있는 주사 항암제보다 독성이 적어 말기 폐암 환자의 생존기간을 획기적으로 연장시킨 우수한 치료 약제로 알려졌다.
또한 폐선암 환자 중 19번 엑손유전자 결손과 21번 엑손유전자 L858R변이가 있는 경우에만 사용가능하고, 이 유전자변이는 비흡연 여성 폐암 환자에게서 50-60% 발견되나 흡연자에게도 30% 정도 발견된다.
연구결과 무진행생존기간(PFS)의 중간값이 무흡연자(11.7개월), 10년 이하 흡연자(11개월), 11~30년 흡연자(7.4개월), 30년 이상(3.9개월)로 나타났다.
즉, EGFR-TKIs 를 복용하더라도 흡연량이 많을수록 무진행 생존기간이 짧게 나타난 것.
결국 아무리 효과가 좋은 표적 항암제를 복용하더라도 이전 흡연량이 많은 환자의 경우 그 효과의 유지기간이 짧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전체생존기간(OS)의 중간값 역시 무흡자가(33.6개월), 10년 이하 흡연자(26.3개월), 11~30년 흡연자(20개월), 30년 이상 흡연자(8.9개월)로 흡연 기간이 길수록 전체생존기간이 짧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 교수는 "환자의 흡연기간과 양이 많을수록 표적 항암 치료의 약물 효과가 3~4배까지 떨어졌다"며 "금연은 폐암 발생 예방 뿐 아니라 치료 효과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적인 암 전문 저널 EMC cancer(IF 3.2)에 지난 2018년 7월호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