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가정의학회가 지속적으로 언급해왔던 일차의료 주치의 역할 확립을 강조하고 나섰다.
여전히 의료계 일부에선 주치의제를 두고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지만 의료전달체계 확립, 커뮤니티케어 등 일차의료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주치의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
특히, 가정의학회는 "큰 틀에서 주치의에 대한 물줄기는 거스를 수 없다"고 언급하며 주치의제도가 가야할 길임을 명확히 했다.
대한가정의학회는 지난 23일 프레스센터에서 한국소비자연맹‧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와 함께 '주치의 심포지엄 및 선포식'을 개최했다.
앞서 대한가정의학회 이덕철 이사장은 지난 4월 춘계학술대회 메디칼타임즈와의 대화에서 이전과 달라진 주치의를 바라보는 시선을 언급한바 있다.
기존에 주치의라는 단어를 꺼내기만 해도 큰 반발에 부딪혔지만 가정의학회가 아닌 다른 학회에서도 먼저 주치의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막연한 부정적인 시각이 줄어들었다는 게 그 이유.
선포식에서 가정의학회 이덕철 이사장(세브란스)은 "의료계 내부적으로 주치의가 필요하다는 총론에 대해 부인하지 못할 것"이라며 "강론에서 지역 혹은 각자 입장에 따라 상충된 입장이 있었지만 이제는 이를 잘 타협해서 해결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이사장은 이어 "뒤늦은 감이 있지만 제도라고 표현하기 보다는 문화 측면에서 환자, 국민 의사 사이에 끈끈한 신뢰가 만들어져야할 때"라며 "주치의 개념 정립을 위해 복지부와 지속적으로 논의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결국 주치의 개념이 아직 확립이 안됐기 때문에 학회 회원뿐만 아니라 포괄적으로 함께 해 한걸음씩 정의를 확립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 그의 의견.
"'공급자+소비자' 공감대 어우러진 주치의 10년 대계 준비할 때"
또한 이날 선포식은 단순히 공급자 측에서 일방적으로 주치의제의 필요성을 주장한 것이 아닌 소비자들과 공감대를 이뤘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토론에서 한국일차보건의료학회 임종한 회장(인하대)은 "주치의제도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는 난관이 많고 공급자만 바뀌어서도 안 된다"며 "소비자들의 병원 패턴도 바뀌어야하고 시민들이 공감해야 된다는 점에서 이번 논의는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임 회장은 주치의제도가 단순히 지금의 주장으로 1~2년 만에 확립하는 것이 아닌 10년대계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앞으로 의료공공체계 개편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수련부터 의사들의 교육, 소비자의 의료패턴까지 준비하지 못한다면 파행이 더 커질 것"이라며 "시민들의 마음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한두 번의 이벤트 아닌 구체적인 플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끝으로 임 회장은 "현재의 엉킨 매듭을 풀기 위해서는 의료계, 소비자가 함께 정부 측에서 제도를 정착하기 위한 10년 추진계획을 만들도록 노력해야한다"며 "이번 선포식이 중요한 첫걸음이 되어 앞으로 힘을 받아서 나아갈 수 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