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병·의원
  • 대학병원

고용 불안정 끌어안은 세브란스 다음 스텝은 '인재양성'

황병우
발행날짜: 2019-10-17 07:00:00

트레이닝프로그램 등 입원전담의 범위 확장 노력
연세의대 내과학교실 내 입원전담전문의 분과 창설 고민 언급

통합내과를 도입하면서 입원전담전문의 제도를 선도적으로 이끌고 있는 세브란스병원이 또 한 번의 도약을 준비하는 모습이다.

입원전담의의 제도의 가장 큰 불안점인 '고용 안정성'을 고민하는 것을 넘어서 트레이닝 프로그램 확립 등 입원전담전문의 범위를 넓혀가기 위한 노력하고 있는 것.

세브란스병원은 지난 16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그간의 성과와 향후 입원전담전문의 제도를 이끌어나가기 위한 계획을 밝혔다.
(왼쪽부터) 연세의대 이은직 내과학교실 주임교수, 내과학교실 입원의학위원회 위원장 김영삼 교수

전공의법 시행에 발맞춰 의료인력 공백을 해결하고 환자안전 보장을 위해 시범사업으로 추진된 입원전담전문의제도는 현재 28개 병원 120여명의 입원전담전문의가 활동 중이며 앞으로 계속 늘어날 추세다.

또한 현재 시범사업으로 제도가 진행되고 있지만 향후 본 사업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연세의대 내과학교실 이은직 주임교수는 "입원전담전문의가 전공의법 시행에 따라 많은 노동을 경감해주는 의도로 시작했지만 앞으로 병원이 나가야할 방향이라고 본다"며 "내과의 경우 수련기간의 감소 등의 영향이 있는 상황에서 병원이 환자를 포괄적으로 케어 할 수 있는 시스템 셋업이 필요하고 입원전담전문의에 대한 니즈도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연세의대는 내과학교실 내 입원의학위원회를 만들어 제도 정착을 위한 고민을 하고 있으며, 그중 교육프로그램의 확립을 위해 미국 코넬대의 'Clinical Scholars Program'을 도입해 적용하고 있는 상태다.

세브란스병원 김영삼 교수(연세의대 내과학교실 입원의학위원회 위원장)는 "최근 자료를 보면 입원전담전문의는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고 빠른 시간 내 정착이 가능할 것이라고 본다"며 "정착을 위해 교육제도의 필요성을 느끼고 코넬의대의 입원전담전문의 교육프로그램의 도입을 결정해 교육과정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세브란스병원은 입원전담전문의 제도가 정착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트레이닝 제도 확립을 통한 인재의 양성이 필요하다고 비전을 제시했다.

이에 대한 연장선상으로 내년 2월에 개원 예정인 용인세브란스병원의 경우 입원의학과가 개설되며 의과대학 및 병원 산하 독립부서로서 학과와 진료과를 신설되는 것은 처음사례다.

이은직 교수는 "관련 학과를 만들기 위해서는 의대의 교육과 병원에서 환자를 보는 조직 두가지면에서 시스템이 만들어져야 한다"며 "용인세브란스병원에 입원의학과가 만들어졌다는 것은 입원전담전문의가 정착하기 위해 한발 더 내딛은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 교수는 "또한 내과학교실내 입원의학과 분과 창설을 위해 창설 TF팀을 구성해 진행하자는 말이 나왔고 내년 분과 오픈을 목표로 긍정적 논의가 있다"며 "아직 가야할 과정이 많지만 분과 창설과 트레이닝 시스템이 안착시켜 훌륭한 입원전담전문의를 양성하겠다는 비전이 있다"고 강조했다.
(왼쪽부터) 연세의대 내과학교실 김영삼 교수, 이은직 내과학교실 주임교수, 세브란스병원 통합내과 신동호 교수

"정부 정책지원과 수가 입원전담전문의 제도 안착 남은 과제"

다만, 세브란스병원이 입원전담전문의 제도를 선도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과 별개로 아직까지 정책적으로 넘어야할 산은 존재한다.

세브란스병원 통합내과 신동호 교수는 "입원전담전문의제도가 시범사업이기 때문에 시범사업이 끝나고 없어지는 것이 아닌가하는 불안감은 아직도 느끼고 있는 것을 사실"이라며 "복지부에서도 의지가 분명하고 내년도 본 사업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런 정책적 불안정성이 해결돼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이은직 교수는 "정부가 시범사업을 시작했지만 결국 제도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정책적으로 밀어줘야하고 보험재정이 커버가 돼야한다"며 "입원전담전문의가 인건비 지출이 많기 때문에 적정한 수가가 보장이 된다면 병원도 고용하고 싶고 직업안정성 측면에서도 보장이 되기 때문에 정부의 지원이 정책적으로 결정돼야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