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좌담회]입원전담의 장기적 관점 비전 부족 지적 수련 질 개선 위해 입원전담의 가야할 길은 공감
내과‧외과 수련 3년제 전환과 맞물려 가장 화두에 오른 제도는 입원전담전문의다.
각 수련병원에서 3년제로 부족해진 내‧외과 전공의 인력의 공백을 채우고 이를 통해 수련 질을 올리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
또한 입원전담전문의는 3년제로 더 빨리 배출되는 내‧외과 전문의 인력에 새로운 길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앞서 내과‧외과 수련 3년제 전환에 대한 시각을 전한 대한전공의협의회 박지현 회장(삼성서울 외과 3년차), 서울대학교병원 박우찬 전공의(내과 4년차), 한석문 전공의(내과 3년차) 등 3명의 전공의는 입원전담전문의에 대해 여전히 불안하다는 시각을 전했다.
"본 사업 전환과 별개로 비전 아직 부족…불안정 여전하다"
입원전담전문의는 제도는 조금씩 보완되면서 발전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전공의들은 입원전담전문의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나 전공의 5년차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고 밝혔다.
한석문 전공의= 전공의들이 입원전담전문의 지원을 왜 선호하지 않는가 보면 개인적으로 아직까지 보여준 비전이 적다는 생각이다. 내가 전문의로서 역할을 하고 싶은데 결국 교수님 회진을 따라 돌고 이에 따라 오더를 넣는다면 결국엔 내가 전공의 4년차, 5년차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걱정이 드는 것이다.
박우찬 전공의= 전공의가 아직까지 입원전담전문의를 생각하지 않는 제일 큰 원인은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입원전담전문의가 전문성을 띤 한 분과가 되기까지는 위치가 아직 불안정한 것이다. 또 1년 단위 계약직인 경우가 많은데 입원전담의 경험이 이후에 어떻게 쓰일 수 있을까하는 생각도 고민인 부분으로 가령 펠로우를 2년 동안 하면 분과전문의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입원전담의 2년을 한다면 매년 내과전문의는 나오는 상황에서 나를 대체할 수 있는 사람들이 계속 나오는 게 아닌가 하는 불안감도 한편으로는 있다.
박지현 회장= 입원전담전문의에게 일반교수의 역할을 부여하지 않기 때문에 자리가 불확실한 것 같고, 그렇기 때문에 자리를 못 잡고 전공의들이 지원을 안 하는 거라고 생각을 한다. 전공의 5년차의 일을 하는데 고용이 불안한 고학력의사로 있는 것보단 밖으로 나가는 게 낫다고 생각을 하는 것이다.
또 단순히 계약직이나 정규직을 떠나서 역할 자체가 현재 의료전달체계 안에서는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 병원에 입원전담의가 있지만 주치의들이 보고 있는 병동은 회진을 안 돌고 그 파트 전공의들이 환자를 파악한 다음에 브리핑하는 상황이 와서 중간단계의 전공의들이 힘든 일만 늘어난다. 기형적이 구조에서 입원전담전문의를 끼워 넣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세팅을 하고 각자의 역할을 나눠주는 게 중요해 보인다.
한석문 전공의= 전문의로써 정체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차라리 '내시경을 배워서 건강검진센터에 취직하겠다' 이런 게 더 나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 사업이냐 시범사업이냐 이런 것도 계속 이야기도 나왔었지만 복지부가 계속 끌고 가겠다는 의지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왜 지원하지 않는가 생각해보면 아직까지 보여준 비전이 없는 것이다.
박우찬 전공의= 사실 입원전담의 급여가 주니어스텝보다 높고 근무환경도 좋다. 이것이 복지부에서 보조가 있기 때문인데 이러한 높은 인건비를 병원에서는 부담을 할 수 없다. 지금은 복지부에서 정책적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이런 대우를 받는데 복지부 정책이 바뀌면 (보장이)안 될까봐 지원을 안 하는 것 같다.
Q.서울대병원의 경우 입원전담전문의 제도를 리드해나가는 병원 중 한 곳이다 어떻게 바라봤는지? 또 3년제 전환 이후 드라마틱한 변화 있을 것 같은가?
박우찬 전공의= 제일 처음 봤을 때 느낀 점은 너무 기술이 발달하고 학문이 깊이가 깊어지면서 같은 내과라 하더라도 다른 분과는 신경을 못 쓰게 된다. 하지만 입원전담전문의가 통합내과라는 이름으로 환자에 대해 포괄적으로 보고, 한곳에만 집중했을 때 안 보이는 것을 전체적으로 보면서 해결해 줄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라고 생각된다.
다만, 이 근무조건 계속 할 수 있다면 좋아 보이는데 그게 보장은 없기 때문에 해소되지 않는 불안감은 같이 있다.
박지현 회장= 외과에서 이야기하기를 전공의를 끝내고 3분의 1이 입원전담전문의로 가는 게 목표인데 그것은 다른 말로 전공의 5년차 같은 똑같은 일을 하는데 돈만 많이 주는 전공의 대체인력으로밖에 인식이 안 된다. 입원전담전문의에 대한 자격기준이 단지 인력이 없어서가 아니라 경험이나 지식적 수준의 질이 보장도 돼야하고 그래야 입원전담전문의도 프라이드를 느낄 것으로 생각한다, '전문의자격증 있으니깐 오세요'는 안 된다.
한석문 전공의= 입원전담전문의에 대한 전공의의 인식이 개선되기는 한 것 같다. 다만 전공의 일을 누군가 해야 된다는 과거생각에서 벗어나 대신할 인력이 아닌 새로운 직역, 역할을 주고 책임감을 주고 스스로 열심히 하게 하는 환경이 만들어져야 한다. 전공의 일을 누군가 대신한다는 것은 돈을 얼마나 준다고 하면 단기간에 오겠지만 장기적으로 개선되지는 않을 것이다.
"3년제 전환 수련 개선 결국 입원전담의 방향은 맞다"
박우찬 전공의= 입원전담전문의에 대한 생각은 있었지만 다른 동기와 마찬가지로 용기가 없는 것 같다. 내과학회 정착시키려고 노력은 하고 있는 것 같지만 큰 틀에서는 아직 잘 모르겠다. 입원전담전문의 제도가 워낙 낯선 제도였기 때문에 두려움이 있었지만 대해 지속성을 보여준다면 지원율을 자연스럽게 올라갈 것으로 본다. 제도 정착이 잘된다면 3년제에 따른 언더트레이닝에 대한 걱정도 자연스럽게 해결 될 것으로 본다.
한석문 전공의= 내과 3년제는 큰 변화다. 수련과정자체의 인식도 패러다임쉬프트가 있으면 좋겠고 과거의 경험을 통해 선배에게 구전으로 배우는 것을 떠나서 체계적으로 어떻게 배우고 훌륭한 내과와괴 의사를 단기간해 교육할 수 있을지 근본적 고민이 있으면 좋겠다. 현실저인 여건이 있지만 입원전담전문의 정착을 바탕으로부터 장기적으로 좋은 방향으로 갈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박지현 회장= 학회가 3년제 도입을 했을 땐 큰 이상과 포부가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재정적이나 인력 문제 등 현실에 벽에 계속 부딪히고 있다. 결국 큰 틀에서 손을 봐야하는데 그게 안 되니 찔끔찔끔 옷을 고쳐 입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번 수련제도에서 크게 개편을 했기 때문에 그것에 맞춰 복지부와 수련병원도 서포트를 해서 기형적인 의료구조에서 기형적 의사가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수련 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