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제품이나 추가 임상 데이터가 나온 제약사들이 고민에 빠졌다.
이들은 새 정보를 알리기 위해 기자간담회 등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정작 해당 소식을 전할 인물 찾기가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쌍벌제 이전만 하더라도 관련 분야 전문가인 교수를 초빙하면 간단히 해결될 문제였지만, 지금은 강연료 지급 기준이 모호해 강연자 섭외에 애를 먹고 있는 것.
다국적 A제약사 관계자는 15일 "신약은 꾸준한 추가 임상데이터가 나와 이를 알릴 수 있는 간담회 등이 필수적"이라며 "하지만 쌍벌제 후 강연료를 지급하지 않고 초청을 부탁하자니 해당 교수에게 짐이 될까 눈치보이고, 돈을 주려니 쌍벌제가 걸린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그는 "해당 분야에서 권위가 있는 키닥터를 초빙해 강연하면, 제품 신뢰도가 높아져 인지도가 상승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며 "하지만, 강연료 지급이 안되는 현 시점에서 무턱대고 교수에게 부탁하는 것은 염치가 없어 고민스럽다"고 덧붙였다.
최근 품목 허가를 받은 다국적 B제약사 관계자도 사정은 마찬가지.
그는 강연료를 주고 허가 임상에 참여한 교수를 간담회 등에 초빙해 제품을 소개하는 것은 업계의 전통적인 마케팅 방식이지만, 현재는 아무것도 못한 채 인맥에만 의존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이 관계자는 "최근 행사에서 발표한 교수에게 강연료를 지급하지 않았다"며 "해당 교수가 자신의 시간을 쪼개서 강연 준비를 하고 간담회에 참석했는데도 애매한 기준으로 정당한 대가를 지급할 수 없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이어 "물론 키닥터들은 돈보다는 자신의 명성을 고려하는 경향이 많아 강연 초청에 흔쾌히 응해주는 편"이라며 "하지만 이들도 초반에만 이럴 수도 있다는 생각에 향후 마케팅 전망이 어둡다"고 걱정했다.
이들의 공통적인 목소리는 하루빨리 강연료 등에 대한 애매한 기준이 명확해져야한다는 것이다.
다국적 C사 임원은 "회사내 의학부에서 강연에 나서며 자체 해결을 모색하고 있지만, 한계가 있다"며 "아무래도 현장에서 뛰는 의사들의 말 한마디보다는 파급력이 약하기 때문이다.하루빨리 강연료 등의 기준이 명확히 개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