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만 PET-CT를 프리미엄 검진이라고 해서 진행하지만 방사선 노출 문제는 아무도 신경쓰지 않고 있다."
병의원이 PET-CT의 디텍터 수로 홍보 경쟁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환자 안전을 위해 디텍터 수에 따라 증가하는 방사선량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4일 윤상욱 차의과대 진단방사선과 부교수는 '영상 진단-치료와 환자 안전'을 발표하며 "방사선 종사자의 경우 피폭량 제한이 있지만 환자는 없다"면서 "질병만을 찾고 고치는게 아니라, 이제는 환자를 치료의 중심에 둬야한다"고 주문했다.
GE헬스케어 주최로 프리마 호텔에서 마련된 이날 강좌에서 윤 부교수는 "그간 CT는 16개 디텍터에서 256개 디텍터가 달린 모델로 발전했지만 방사선량도 비례해 증가했다"면서 "이제 단순히 화질을 위해 디텍터를 늘리는 것이 좋은지 고민해볼 시점이다"고 전했다.
2009년 식약청의 의뢰로 수행된 '방사선 관계 종사자의 건강영향 평가를 위한 코호트 구축'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암 발생 위험에 진단용 방사선 노출이 기여하는 정도가 3.5% 이상으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윤 부교수는 "CT 검사에서 노출되는 30~90mSv의 방사선 양으로도 암이 발생될 수 있다는 연구가 있다"면서 "불필요한 방사선 검사를 줄이거나 MRI 등으로 대체해야 한다"고 전했다.
전신 MRI는 PET-CT와 비교해 동위원소를 사용하지 않아도 돼 방사선 노출이 없고 해부학적 구조물이 명확히 보인다는 장점이 있다는 것.
그간 병의원이 CT를 도입하며 디텍터 개수로 홍보에 열을 올렸지만 이제는 방사능 량에 따라 어떻게 환자를 보호할지 고민해 봐야할 시점이라는 설명이다.
윤 부교수는 "방사선 저감 시스템을 통한 적극적인 수검자 보호가 필요하다"며 "검진 시 방사능에 노출된 정도를 기록하고 이를 토대로 다음 검진 여부를 결정하는 등의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