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측은 "기존 광고 카피를 변경할 생각은 없다. 정부 규제에 따라 불가피하게 문구를 고쳐야 한다면 광고를 중단할 계획"이라며 "또 이미 제작이 끝난 3편의 광고도 내보내지 않겠다"고 설명했다.
보건복지부에 이어 식약청의 압박에 동아가 백기를 든 꼴이다.
앞선 지난 21일 복지부 진수희 장관은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오늘부터 박카스는 의약외품으로 분류됐다. 따라서 지금까지 해오던 광고는 틀린 광고다. 만약 광고가 계속되면, 규제 조치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말한 바 있다.
아직 해결되지 않은 박카스D의 약국외 판매 문제도 동아의 고민거리다.
현재 정부는 박카스D를 빨리 수퍼 등에 공급하라고 압박하고 있다. 박카스D의 상징성이 워낙 크기 때문이다. 실제 의약외품으로 전환된 48품목의 총생산액 중 박카스D는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동아는 공급물량을 맞출 수 없다며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의약외품으로 빠진 박카스D의 연간 생산량은 3억 6000만병인데 약국 유통만 3억5000만병 이상이 팔려 재고가 없다는 것. 이와 별도로 박카스D가 수퍼로 나갈 경우 약사들의 반발도 동아가 떠안고 있는 과제다.
악재는 또 있다.
자사의 대표 위장약과 고혈압약이 리베이트에 적발돼 첫 약가인하 대상에 포함된 것. 두 약물만해도 작년 합계 매출액이 1000억원이 넘어 20%로 예정된 약가인하에 막대한 손실이 예고되고 있다.
업계는 이같은 일련의 사태에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특히 정부의 밀어붙이기식 정책에 업계 부동의 1위 동아제약이 희생양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한 관계자는 "박카스의 의약외품 전환만 놓고 보면 정부의 졸속정책에 동아를 희생양으로 내몰고 있다. 의약외품에 상징성 있는 일반약 하나를 넣어야겠는데, 그것이 박카스가 된 것이다. 벌써부터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는 걸 보면 정부 정책이 얼마나 잘못 추진됐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관계자도 "동아의 리베이트 행위는 잘못됐지만, 처벌 수위는 너무 가혹하다. 보건소 처방은 많아야 월 수백만원이다. 그런데 800억원 짜리 약을 20% 깎겠다고 한다. 첫 케이스 성과를 내기 위해 너무 집착하는 것 같다"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