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 성심병원 간소화기센터 이봉화 교수가 '조기위암과 진행성위암에서 장기생존 가능성 예측인자의 차이(Different Prognostic Factors in Gatric Cancer)' 논문을 SCI 저널인 'Hepato-Gastroenterology' 2011년 58호에 게재했다.
이봉화 교수(외과)는 "일반적으로 암 병기에 따라 장기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지만 암에 따라서는 병기 외에 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는 다른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조기위암이라고 해도 경우에 따라 장기생존율이 80% 미만으로 떨어지기도 하고, 재발 및 전이의 가능성이 생기기도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 생존율 90%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조기위암에서는 병기와 무관하게 어떤 경우 예후가 나빠 5년 생존율이 떨어지게 되는 것일까.
논문에서 이봉화 교수는 1999년부터 2005년까지 성심병원에서 위암 수술을 받은 환자 576명의 조직검사 결과 및 환자특성, 사망 여부, 사망원인을 조사했다.
이 중 점막하까지만 암이 침범한 조기위암이 260명, 그 이상으로 침범된 진행성위암이 318명이었다.
그 결과 조기위암에서는 연령과 림프절전이가 5년 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였다.
조기위암의 경우 60세 이상 5년 생존율은 79.4%로 60세 미만의 5년 생존율인 91.8%에 비해 낮아 60세가 넘으면 5년 생존율이 12.4%p나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림프절전이(1~6개)가 있는 경우 생존율은 75.9%로 림프절전이가 없는 경우인 86.9%에 비해 생존율이 떨어졌다.
림프절전이가 7~14개인 경우의 5년 생존율은 33.3%로 크게 떨어져 림프절전이가 많을수록 생존률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봉화 교수는 "조기암은 불량 예후만 없으면 양호한 예후를 보이지만 조기암이라 하더라도 60세 이상의 고 연령이거나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에는 재발이나 전이의 가능성을 염두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미 점막하 이상 암이 침범된 진행성위암의 경우에는 장기생존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인자들이 조기위암과는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조기위암과 달리 진행성위암에서는 연령(5년 생존율: 60세 이상 52.6%, 60세 미만 59.1%)은 예후를 예측하는데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진행성위암에서는 암의 침범 깊이에 따라 예후가 달라졌다. 근육층까지 침범한 경우의 5년 생존률이 87.3%로 장막층까지만 침범한 경우 43.7% 보다 높았다.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는 조기위암과 마찬가지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5년 생존율이 낮았다.
이봉화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조기위암과 진행성위암에서 장기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는 요소가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 결과로 두 암의 성격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