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병원들이 심정지 환자 치료 가이드라인을 잘 지키고 있는지 응급의료기관 평가에 도입할 예정이다.
또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심정지센터 지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질병관리본부는 24일 보건복지부, 소방방재청과 공동으로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제1차 심정지조사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중앙응급의료센터 윤한덕 센터장은 "응급의료센터간의 편차가 너무 심하다. 심정지 빼고는 응급의료기본계획을 세우기 어렵지 않을까 판단하고 있다"고 운을 뗐다.
그는 이어 "심정지 생존율 자체를 응급의료기관 평가에 반영하기는 어렵다. 치료절차가 가이드라인에 따라서 이뤄지는 지에 대해서는 내년 평가부터 도입을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성모병원 응급의학과 박규남 교수는 응급의료기관 평가 강화에 동의하며 근거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박 교수는 "의료기관평가라는 것이 도입되고 나서 의료기관 응급처치 능력이 향상된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며 "심정지는 한해 2만 5000명씩 발생하는데 교통사고 환자보다 5배 정도 많은 숫자다"고 말했다.
그는 "한 연구에 따르면 심실세동에 의한 심정지 후 저체온 요법을 시행하면 완전히 의식이 돌아오는 경우가 57%에 달한다. 이 연구를 시범 지표로 넣는 등 평가에 어떤 항목을 도입할 때는 근거가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 센터장은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뇌소생 치료에 관한 부분의 평가 반영 여부는 확실히 말하기 어렵다.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고 심폐소생술을 하는지, 그 점에 대해서는 어떤 형태로든 간에 응급의료평가에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시 보라매병원 응급의학과 송경준 교수는 심정지 환자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심정지센터 지정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섰다.
그는 "아직까지 근거만들기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 서울을 비롯한 각 지역에 심정지센터를 지정하면 그만큼 환자 생존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서울지역은 6~10개 정도가 적정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송 교수는 또 "응급환자를 바이패스하고 병원에 도착하는 것이 15분을 초과하면 안된다, 전원을 하는 거라면 얼마의 시간이 걸려야 한다는 등의 명확한 기준을 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