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 전문가들이 바라는 응급의료체계는 어떤 모습일까.'
지난 14일 열린 응급의료체계 선진화 촉구 신년 학술대회에서는 응급의학회, 외상학회, 심장학회, 응급구조학회, 병원응급간호사회, 재난응급의료협회, 소아응급연구회, 항공응급의료학회 등 8개 관련 학회 및 단체 관계자들이 새로운 응급의료정책 방안을 쏟아냈다.
이날 학술대회는 약 6시간에 걸쳐 장시간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참석자들은 끝까지 자리를 지키며 대안을 모색해 나갔다.
"응급의료체계 일원화, 총리실 산하 기관 마련하자"
특히 현재 응급의료체계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총리실 산하에 중앙응급의료위원회를 설립해야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울산대병원 홍은석 교수는 14일,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응급의료체계 선진화 촉구 신년 학술대회'에서 국가 응급의료체계 선진화 구축방안으로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
그는 먼저 총리실 산하에 중앙응급의료위원회의 기능을 강화하고, 산하단체로 국가응급의료관리원을 신설해 기존의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업무를 이전할 것을 주장했다.
이어 국가응급의료관리원은 응급의료정책에 대한 평가 및 관리 역할을 맡기고, 행정권한을 부여해 응급의료기관과 유기적인 협력이 가능한 모델을 만들자고 제안했다.
또한 그는 복지부 응급의료과와 소방방제청의 구조구급과를 통합하고, 총리실 산하에 응급의료청을 신설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그는 "두 기관을 통합하면 현재 이원화된 응급의료체계를 일원화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해외에서도 두기관을 통합해 효율성을 높이고 있는 사례가 있다"고 설명했다.
"응급관리료, 응급의학과 전문의에 한해 적용해야"
대한응급의학회 정성필 수련이사(연세의대)는 응급의학전문의 확보 및 양성방안으로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진료한 경우에만 응급관리료를 인정해줄 것을 요구했다.
그는 또 각 진료과의 원활한 협조를 위해 타 진료과 전문의에 대한 협진료 신설을 제안했다.
정 수련이사는 "현재 활동중인 응급의학과 전문의 57%가 수도권에 몰려있다"면서 "취약지역 근무 전문의에 대한 인건비 지원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병원응급간호사회 장봉희 회장은 응급실 간호등급제 도입을 주장하며 적정 간호인력을 확보함으로써 간호의 질과 서비스 수준을 유지할 것을 제시했다.
"응급의료체계와 전문질환센터 연계해야 환자 살린다"
응급의학회 곽영호 홍보이사(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는 소아응급센터와 응급의료체계의 연계 방안에 대해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곽 이사는 전문인력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소아응급연구회 교육 프로그램인 Advanced Pediztric Emergency Course(APEC)를 소아과학회와 응급의학회 공식 교육 프로그램으로 인정함으로써 소아응급 전문 인력을 양성, 배출할 것을 제안했다.
즉, 양 학회가 소아응급 분과전문의를 도입해 앞으로 소아응급전문센터에 집중 배치하자는 얘기다.
곽 이사는 이와 함께 소아응급의료센터를 기본센터와 전문센터 2단계로 구분해 운영하자로 주장했다.
기본센터는 경환자를 대상으로 소아진료와 중환자 이송 역할을 한다면, 전문센터는 중환자에게 24시간 전문의가 진료를 맡도록 하자는 것.
그는 "기본센터는 소아청소년과 개원가에서 전문센터는 소아전용 응급실을 구축한 병원이나 어린이병원이 맡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충남대병원 정진옥 교수(심혈관센터)는 응급 중증환자의 생명을 구한 사례를 제시하며 "응급의료 전담 인력이 확보돼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라고 했다.
그는 "보다 체계적인 응급의료체계를 구축하려면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초기치료와 전문치료를 구분하고, 경증환자는 적정 수준의 1, 2차병원으로 의뢰하고 중증환자는 전문화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
"응급환자 이송체계부터 확립하자"
부산대병원 조석주 교수는 병원전단계 병원간 응급환자 이송체계의 재정립에 대해 강조했다.
그는 당직의사도 야간에 환자를 받아줄 병원을 찾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어떤 병원에 가야 적절한 진료가 가능한 지에 대한 정보조차 없다고 꼬집었다.
그는 "한국은 사실상 응급의료체계가 없다"면서 "일단 환자분류체계를 도입하고 메디칼컨트롤 시스템을 강화함으로써 환자를 신속하게 적절한 의료기관에 이송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단언했다.
한국항공응급의료학회 이강현 회장(원주의대기독병원)은 "응급전용헬기의 환자이송에 소요된 평균시간은 45분인 반면 다른 이송수단은 1시간 37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헬기 이송을 확대하고 재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응급실 수가 신설…진찰료·협진비 별도로 인정해야"
현재 응급의료관리료, 응급처치수가는 비현실적이므로 응급실 수가를 신설해야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소병학 교수(응급의학과)는 "응급실에서의 진찰은 일반 외래와 성격이 전혀 달라 동시다발적이고 예측하기 어렵다"면서 응급실 진찰료와 함께 응급실내 협진비, 응급실 관찰 수가를 별도로 인정해줄 것을 촉구했다.
그는 이어 "현재 응급의료관리료에는 공간적, 시간적 준비에 소용되는 비용이 반영되지 않아 이에 대한 수가 개선이 필요하다"면서 "응급처치 행위에 가산율을 적용하고, 응급실 진료의 질 향상을 유도하기 위한 차등수가제 도입을 검토해야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