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 띄는 과정은 필수전공에 지역 사회에 기초한 수련(1~4개월)이 새롭게 신설됐다는 점이다.
지역사회 수련은 공공의료를 중심으로 내과 2개월, 소아청소년과 1개월, 응급의학 1개월, 국가검진 1개월, 보건소 등 일차의료기관 1개월 등을 의무화했다.
이는 보건의료 정책에서 일차의료의 중요성이 급부상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해 전공의 수련부터 지역 주민 진료를 의무화해 가정의학과 역할과 위상을 제고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중앙보훈병원 전태희 전문의는 "대학병원 위주로 수련이 이뤄지고 있어 지역 사회 수련이 부족한 실정"이라면서 "지역사회 일차의료 역할에 비춰볼 때 개선돼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3년차가 돼야 비로소 외래진료를 시작하지만 대형병원 환자들이 전공의 진료를 기피하고 있어 충분한 진료경험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일차의료 전담인력 양성 방안 결과도 발표됐다.
한림의대 조정진 교수는 "일차의료 전담의 정의와 범위, 양성방안은 의료계의 합의 부재와 의료기관 역할 정립 부재 등으로 취약한 상태"라고 전하고 "0ECD도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병원 의존성과 일차의료체계 미흡을 지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차의료 개념을 '감기 같은 사소한 건강문제부터 고혈압과 당뇨병 등 만성질환 관리를 책임질 뿐 아니라 의원급에서 해결할 수 없는 건강 문제도 가족 같은 입장에서 조정, 안내해 줄 수 있는 의료'로 규정했다.
조정진 교수는 "한국에서 일반의라는 명칭은 전문 수련을 받지 않은 의사를 의미해 일차의료 전담의를 호칭하는 용어로 적절치 않다"며 "일차의료를 통칭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일차의료전문의'라는 용어가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
조 교수는 "인턴제 폐지와 NR 도입에 대비해 일차의료 중심인 가정의학과에서 양질의 수련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의료제도 환경과 전공의 지원율 저하 등의 상황에서 안일한 대처는 가정의학과의 위기가 될 수 있다"고 환기시켰다.
한편, 가정의학과 최근 5년 전공의 지원율은 ▲2009년 95%(401명 정원 중 380명) ▲2010년 88%(411명 중 362명) ▲2011년 89%(408명 중 363명) ▲2012년 84%(429명 중 361명) ▲2013년 78%(378명 중 295명) 등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