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료진이 3D프린터를 의료에 적용, 시술에 성공해 눈길을 끌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백정환 교수(이비인후과)는 부비동암 수술에 3D 입체 프린터를 이용함에 따라 수술 후 부작용 중 하나인 얼굴, 눈 함몰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됐다고 21일 밝혔다.
백 교수는 지난 4월과 5월에 재발 부비동암 40세 여성 환자와 코가 자주 막혀 비중격만곡증으로 알고 병원을 찾았다가 부비동암으로 판정받은 46세의 남성 환자를 3D 프린터를 이용해 성공적으로 수술했다고 전했다.
현재 의료계에서는 치과 분야에서 임플란트 시술 전 3D 프린터를 이용한 모형물의 제작에선 활발히 이용되고 있지만 암수술에 활용된 적은 없었다.
특히 최근 미국에선 한 네티즌이 3D프린터로 권총을 만들어 논란이 된 가운데 국내에선 3D프린터를 의료에 적용한 사례가 소개된 터라 더욱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의학계는 벌써부터 3D프린터가 미래 수술 트렌드에 어떤 변화를 불러일으킬 것인가 주목하고 있다.
지금까지 부비동암 수술은 안구를 떠받치는 뼈 등 암이 퍼진 얼굴의 골격을 광범위하게 절제한 후 다른 부위의 뼈나 근육을 떼어 내 붙여 기존의 얼굴골격을 대신한다. 이때 주로 환자 자신의 어깨뼈와 근육 등을 떼어 미세혈관 수술을 이용해 얼굴재건을 시도했다.
문제는 기존의 CT 등 영상의학검사 자료에만 의존해 수술을 진행할 경우 얼굴 골격을 정확히 확인하기 힘들어 수술 과정에서 부정교합이 발생할 수 있었다. 또 시간이 지나면 구조물이 변형으로 인해 눈 주변부가 주저앉아 양쪽 눈이 수평선이 어긋나면서 복시가 진행되기도 했다.
백 교수는 이 같은 단점을 3D프린터로 해결했다.
그는 치과용 모형물을 만드는 벤처 회사에 CT영상을 의뢰해 환자의 수술 부위의 골격을 3D 프린터를 이용한 모형물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수술 중 예상되는 얼굴 골격 절제 범위를 미리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절제 부위의 뼈의 두께, 절제 방향의 중요 구조물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수술에 이용할 수 있었다.
게다가 뼈 절제 후 뼈 결손 부위의 복원시 두개골 복원용 골시멘트를 이용해 모형물에서 정확한 뼈결손부의 복원을 시킬 수 있었으며, 이 골시멘트 결손 모형은 직접 혹은 복원에 사용되는 다른 소재인 티타늄의 모양을 정확히 만들어 주는 데 이용했다.
3D프린터로 만든 모형물은 환자 및 보호자에게 수술의 이해도를 높이는 효과도 있었다.
백정환 교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부비동암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쳐 치료 후 얼굴변형을 예방함으로써 삶의 질 향상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 인체 조직을 3D 프린터의 원료로 이용하고자 하는 바이오프린팅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면, 공상과학영화에서 보던 장기나 조직의 3D 프린팅 시대가 올 것"이라면서 "3D 프린팅이 의료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