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차의료 활성화 정책을 내놓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정의학과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최근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 가정의학과의 지원율은 주춤했기 때문.
그나마 빅5 등 대형병원은 무리없이 정원을 채웠지만 지방에선 지원자를 찾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는 수련병원이 속출했다.
특히 충남대병원과 계명대동산병원, 아주대병원은 각각 6명 모집에 나섰지만 단 한명도 지원자가 없었다. 고신대복음병원도 2명 정원에 0%지원율을 기록했다.
이 같은 변화에 자칫 기피과로 전락하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와 함께 정부가 일차의료를 활성화하겠다고 나서고 있지만 정작 일차의료를 대표하는 진료과 중 하나인 가정의학과 전공의 지원율이 떨어지자 정부 정책이 전혀 먹혀들고 있지 않다는 반증이라는 지적도 새어나오고 있다.
사실 가정의학과는 최근 전공의 지원율이 감소하는 것에 주목하고 다양한 대안을 모색해왔다.
가정의학회는 올해 초 가정의학과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가정의학과' 대신 '가족주치의학과'로 명칭을 변경하는 안을 검토한 바 있다.
일차의료 전문의가 개원할 때 혜택을 부여하는 (가칭)일차의료 독립개업면허제를 도입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미 하락세로 접어든 가정의학과 지원율이 회복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가정의학과 교수들은 "결국 일차의료 개원의들이 먹고 살기 힘들어진 게 원인"이라고 입을 모았다.
즉, 가정의학과 전문의로 개원해도 안정적인 수입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게 가장 현실적인 해결방안이라는 얘기다.
K대학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개원을 목표로 하는 의전원 출신 학생들이 안정된 수입을 보장하는 전문과목을 선택하면서 기피현상이 더욱 두드러졌을 수 있다"고 봤다.
그는 이어 "미래의 의사들이 자신의 적성보다는 전문의 취득 후 수입만 따져서 전문과목을 선택하는 세태가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S대학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일차의료를 살리겠다는 정부 정책이 성공을 했다면 이같은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을 것"이라면서 "이는 일차의료 활성화 정책이 전혀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가정의학회 김영식 이사장은 "요즘 가정의학과 개원가가 어렵다는 얘기가 나오면서 기피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현재 한국의 의료 상황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학회 차원에서 가정의학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전문성을 강화하는 교육을 마련하고, 가정의학과에 대한 국민인식을 개선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