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 10년 전인 2003년. 비뇨기과 전공의 지원율은 138.5%에 달했다. 하지만 2008년 99%로 미달이 발생하더니 2014년 모집에서는 25%(메디칼타임즈 조사결과)를 기록했다.
몰락. 추락. 이외에는 별다르게 표현할 길이 없다. 왜 이러한 일이 벌어진 걸까. 도대체 어떻게 해야 이러한 추락을 막을 수 있을까.
30일 그랜드힐튼호텔에서 개최된
대한비뇨기과학회 추계학술대회는 이같은 고민들로 시종일관 무거운 분위기가 연출됐다.
비뇨기과 전공의 지원율 추락…138%→25%
비뇨기과학회 한상원 회장(연세의대)은 "비뇨기과
개원가가 몰락하면서 종합병원과 대학병원 나아가 수련제도까지 무너지고 있다"며 "하지만 외과나 흉부외과와 달리 필수 진료과라는 인식이 적어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그렇다면 현재 상황은 과연 어느정도 일까. 우선 곤두박질치고 있는 전공의 지원율이 위기를 말해준다.
2003년 138.5%를 기록했던 지원율은 2008년 99.1%를 기록하며 위기의 전초를 알리더니 2011년 55.7%, 2012년 43.5%로 곤두박질 치기 시작했다.
특히 메디칼타임즈가
전국 88개 수련병원을 조사한 결과 2014년도에는 25%로 사상 최악의 지원율을 기록했다. 물론 서울권 일부 수련병원 외에는 지원자를 찾기 힘들었다.
지방대병원 이미 대 끊겨…수련포기도 속출
이로 인해 이미
지방 대학병원은 수련제도 자체가 붕괴 수준이다.
동아대병원의 경우 현재 비뇨기과에 4년차 전공의 2명 뿐이다. 사실상 복지부 정책대로라면 수련병원 자격이 박탈될 위기다.
인제대 백병원도 마찬가지다. 현재 전공의가 한명도 없어 내년에 전공의를 받을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다.
부산대병원과 고신대병원 또한 상황은 그리 다르지 않다. 저년차 전공의가 전무하다. 결국 현재 상황대로라면 부산의 6개 수련병원 모두가 전공의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는 셈이다.
이형래 학회 홍보이사(경희의대)는 "이미
부산과 경남은 전공의 대가 끊어진 셈"이라며 "올해는 이 정도지만 내년이 되면 지방 수련 체제가 완전히 붕괴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더욱 우려되는 점은 저년차 전공의를 받지 못하면서
이미 수련을 받고 있는 고년차 전공의들도 수련 포기를 고민하고 있다는 점이다.
연차가 올라가며 고난도 수련을 받아야 하지만 저년차가 단 한명도 들어오지 않으면서 혼자 1~4년차 업무를 소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형래 이사는 "지방을 중심으로 이미 비뇨기과를 지원한 전공의들의 이탈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이대로라면 비뇨기과가 역사속으로 없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수가 개선·의료계 배려 시급"
그렇다면 과연 이러한 상황이 벌어지는 원인은 무엇일까.
학회는 우선 비현실적으로 낮은 수가와 비뇨기과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 인식, 지원율 저하로 인한 전공의 근무 환경 저하를 주요 원인으로 꼽고 있다.
이상돈 학회 수련이사는 "
불합리하고 비현실적인 진료수가를 조정하고 외과, 흉부외과와 같이 진료수가를 가산해줘야 한다"며 "또한 의료계도 비뇨기과가 최소한 고유 영역을 보존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배려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상원 학회장은 "요양병원에 비뇨기과를 필수 진료과목으로 지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며 "진료 난이도에 따른 수가 재조정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