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의료 시범사업 대상지역 중 시흥시를 제외한 4개 지역이 예산 편성을 마치고 '1차의료 지원센터' 가동을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30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기존 일차의료시범사업 준비단의 명칭을 '추진단'으로 바꾸고 31일 오후 첫 회의를 갖는다.
추진단에는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과, 개원내과의사회, 가정의학과의사회 등 기존의 일차의료시범사업 준비단에 전산개발을 위한 실무위원 2~3인이 더 들어갔다. 킥오프 성격의 첫 회의에서는 그간의 사업 추진 상황 등에 대한 보고가 있을 예정이다.
앞서 복지부는 대한의사협회에 추진단 참여를 요청했지만 의협은 사업 추진에는 참여하지 않고, 사업효과 분석에만 적극 참여하겠다고 입장을 정리했다.
예산편성을 마치고 1차의료 시범사업 준비에 활기를 띄고 있는 지역은 서울 중랑구, 전주시, 무주군, 원주시 등 4곳이다.
한 의사회 관계자는 "시범사업은 지역 의원의 진료실에서 만성질환자를 교육하고 상담하는 것, 1차의료 지원센터에서 환자를 교육 하는 것 등 크게 투트랙으로 이뤄진다. 여기서 관건은 관 주도가 아닌 지역의사회 주도 형태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1차의료 지원센터는 센터장을 필두로 간호사 2명, 영양사 1명, 운동처방사나 사회복지사 1명 등으로 꾸려진다. 센터장은 비상근, 센터 직원은 상근으로 운영되며 운영비로는 매월 약 3000만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막판까지 예산편성에 애를 먹었던 중랑구 지원센터는 절반수준의 인력과 예산으로 우선 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원들의 가장 큰 관심은 만성질환자 상담수가. 수가는 재진료 수준에서 정해놓고 수가 산정기준을 다양화 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각 지역의사회는 1차의료 지원센터장 선정을 마치고 인테리어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센터 오픈 후에는 의사회 회원을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해 참여도를 높일 예정이다.
또 다른 의사회 관계자는 "센터 오픈 준비에 2주 정도 걸릴 것 같다"면서도 "오픈 하더라도 직원과 사업참여 회원 교육, 소프트웨어 준비, 프로그램 구현 및 가동 등을 거치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환자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센터장이 비상근임에 따라 업무에 대한 도덕적 해이가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상근을 하다보면 관 주도형으로 바뀔 가능성이 더 크다. 지역의사회 주도로 이뤄지는 사업인 만큼 의사회가 견제세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