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물리치료사 면허를 딴 A씨. 지방 의원에서 물리치료만 30년을 했지만, 현재 그가 받는 월 실수령액은 400만원이 안된다. 최근 대기업에 입사한 아들의 초봉이 그의 월급과 엇비슷하다. "몇 년 뒤에는 아버지 월급보다 더 많아지겠네요"라는 우스갯소리가 씁쓸하기만 하다.
물리치료사가 급여 하한선을 담합하고 있다는 의료계의 의혹 제기에 물치사가 발끈하고 나섰다. 현실에서 물치사의 급여 수준과 근무조건이 참담하다는 것이다.
대한물리치료사협회 관계자는 12일 "지난해 4년제 대학 졸업자 신입 평균 연봉이 2400만원이었다. 대학병원, 종합병원은 인턴십 제도를 둬서 정규직 전환을 해주지도 않는다"라며 "지방은 더 심하다. 최저 시급도 못 받는 물치사가 많다. 월 실수령액이 170만원도 안되는 사람이 허다하다"고 현실을 전했다.
이어 "개인 의원은 기업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영세업자기 때문에 종속 직원들이 낮은 임금에도 감내하고 있는 것 뿐"이라며 "병·의원들이 경영에 너무 몰입한 결과다. 지출 경비를 줄이려고 하니까 이런 문제가 생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병·의원이 경영에 몰입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저수가에서 찾으며 물치사 단독 개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물리치료는 비급여 항목이 몇 개 있지도 않은 데다가 수가도 낮고, 급여기준도 깐깐하다. 물리치료사들이 점점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는 물치사가 손목, 발목이 다 묶여 있다. 물치사 인건비가 경영상으로 문제가 되면 약 처방 처럼 물리치료도 처방을 내도록 하면 된다. 그러면 죽이되든 밥이되든 물치사가 알아서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의료계는 물치사끼리 월급 하한선을 정한 것은 이미 오래된 일이라는 입장이다.
경기도 R병원 원장은 물치사 구인이 어렵다는 현실을 인정하며 "물치사끼리 급여 하한선을 정하는 것은 오래된 이야기"라며 "우선 물리치료 수가 정상화를 위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 강동구 S정형외과의원 원장도 "물리치료사들끼리 인터넷 등을 얼마면 가지말자는 이야기를 하는 것은 어느 직역군에서나 할 수 있는 이야기다. 의사도 마찬가지"라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