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맥류가 직격 5cm 이상이면 수술을 권장하는 새로운 치료 가이드라인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 김준범 교수팀과 하버드의대 토랄프 썬트 교수팀은 30일 "수술없이 약물치료를 시행한 대동맥류 환자 257명의 경과를 분석해 대동맥류 크기에 따른 1년 내 파열 확률을 예측하는 논문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김준범 교수팀 분석 결과, 직경 5cm 미만 대동맥류는 파열 확률이 1% 미만이나 직경이 커질수록 확률이 증가했다. 5cm는 5.5~8.0%, 5.5cm는 11.2%, 6cm는 15.6%로 나타났다.
특히 7cm 이상에서는 28.1%로 증가해 대동맥류가 직경 5cm를 넘으면 크기에 따른 1년내 파열 확률이 급격히 증가했다.
지금까지 대동맥류가 5.5~6cm 이상일 경우, 파열 위험성을 감안해 대동맥류를 잘라내고 인공혈관을 잇는 수술을 권했지만, 그 기준에 대한 정확한 근거가 없어 모든 환자들에게 적용하기에 무리가 있었다.
김준범 교수는 "흉부 대동맥류는 파열될 경우 급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위험한 질환"이라면서 "전조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건강검진 등을 통해 일단 대동맥류 진단을 받으면 평생 추적관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그동안 대동맥류 파열 확률에 대한 예측과 수술기준이 미흡했던 게 사실이나 이번 연구로 의료진이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 대동맥류 임상시험 수준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미국 심장학회 공식학술지 'Circulation'(IF=24.948) 온라인 9월호에 게재됐으며, 편집장이 가장 주목하는 논문에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