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한국은 노벨생리의학상을 놓쳤다. 그 아쉬움은 국정감사장까지 이어지며 여야가 입을 모아 정부를 질타했다.
이를 지켜보며 보건의료계 연구분야에 몸 담고 있는 의과대학 교수 혹은 연구원들은 한숨을 내쉬었다. 현장에서 볼 땐 이유가 명확한데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생각없이 입으로만 걱정하는 것이 답답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기획재정부가 최근 발표한 2016년도 예산안을 살펴보면 21개 R&D사업에 대한 지원을 중단, 약 900억원을 감축했다. 또한 기초 및 나노 분야 예산안은 2015년도 2조 2980억원에서 2조 1900억원으로 1000억원 이상 줄였다.
의과대학은 전국 상위 1%의 우수한 학생들이 모였다. 적극적인 투자가 이뤄지면 성과를 기대할 만한 분야임에 틀림없다. 박근혜 정부가 미래 먹거리를 보건의료분야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도 이 같은 배경이 깔려있을 것이다.
하지만 보건의료분야 연구에 가장 기본이 되는 R&D연구 예산을 감축하면서 어떻게 성과를 기대하는 것인지 의문이다.
의과대학 A 교수는 "노벨상은 기초연구에서 근간한 것이다. 신약 특허 등 당장 돈이 되는 것에만 예산을 투자해서는 절대 노벨상이 나올 수 없다"고 했다.
그에 따르면 일본은 기초연구에 투자한지 100년이 지나면서 결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기초연구에 투자한지 30년도 채 안된 한국이 노벨상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는 게 그의 지적이다.
노벨상은 기초연구에 근간한 것이다. 신약 특허 등 당장 돈이 되는 것에만 예산을 투자해서는 절대 노벨상이 나올 수 없다는 사실을 정부는 모르는 것일까. 모른 척 하는 것일까.
한국이 노벨상을 놓친 이 순간, 보건의료분야 R&D연구에 몸 담고 있는 이들이 정부에 가장 묻고 싶은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