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양천구 다나의원 사태를 계기로 정부가 C형간염 감시체계를 전수조사 체제로 전환한다.
질병관리본부 조은희 감염병관리과장은 1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정책토론회에서 이같은 추진 계획을 밝혔다.
새누리당 신의진 의원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다나의원 사태 재발방지와 피해보상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C형간염은 2000년 지정감염병으로 추가돼 2001년부터 표본감시체계로 운영되고 있다. 표본감시는 지정된 의료기관에 한해서만 C형간염 환자 발생 추이를 살피는 것으로 180개 병원이 참여하고 있다.
질본은 C형간염 관리 정책으로 수혈자 C형간염 혈액검사를 실시하고 2006년부터 코호트 연구를 하고 있다.
조 과장은 이들 정책의 문제점으로 ▲표본감시로 신뢰도 높은 자료 수집의 한계가 있고 ▲의료기관 등에서 C형간염 유행 시 인지가 불가능하며 ▲전파예방 및 환자 관리가 안되고 있다는 것을 꼽았다.
그는 "C형간염 신고참여율은 80% 이상으로 추정되지만 표본감시자료와 심평원 자료 일치도가 낮다"며 "표본감시기관이 아니면 C형간염이 발생 또는 유행해도 보고의무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주사기 사용을 비롯해 문신, 아이라인 등도 C형간염을 유발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감염경로에 대한 실태파악이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의료기관이 아닌 곳까지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가 과제"라고 말했다.
그는 "표본감시 결과 중증도와 유병률이 비교적 낮아 발생추이보다 정확한 환자수 파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 일환으로 질본은 C형간염 감시 체계를 '전수' 전환을 추진한다.
조 과장은 "C형간염은 조기발견이 중요한데 우리나라 감시 체계는 허술한면이 있는데다 사실 주목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며 "일본, 캐나다, 미국, 호주 등 대부분 선진국은 전수감시를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질본은 또 C형간염 등록관리를 위한 정보화요소 및 환자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정보화요소 및 업무개선사항 개발 연구를 주제로 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달 연구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이밖에도 C형간염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해 일반인 및 고위험군 교육홍보, 문신이나 네일숍 등 업소 교육, 의료관련 감염관리 등도 계획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