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보건의료포럼은 개원가의 원격의료에 대한 우려를 잠재울 수 있을까.
보건복지부는 미래보건의료포럼을 주축으로 ICT(정보통신기술)를 의료에 접목해 기존 의료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새로운 의료시스템을 구축을 준비 중이다.
그렇다면 복지부가 미래보건의료포럼을 통해 추진하는 미래의 의료시스템은 어떤 모습일까.
미래보건의료포럼, 어떻게 구성돼 있나
일단 미래보건의료포럼은 복지부 권덕철 보건의료정책실장과 서울의대 윤영호 교수가 공동대표를 맡고 보건의료계 전문가 73명의 포럼위원으로 운영한다.
구분하는 포럼은 크게 4개 분과(기술·서비스 분과/ 임상연구 분과 / 제도개선·정책기획 분과 / 확산·실행 분과)로 구분한다.
기술·서비스 분과는 동국대 일산병원의 오상우 교수가 분과위원장을 맡아 진행하며 기술·보완 가이드라인, 데이터·플랫폼, 분야별 서비스 개발(만성, 장기요양, 격오지 등), 기술 검증 등을 추진한다.
분당서울대병원 백남종 교수가 이끄는 임상연구 분과에서는 RCT연구, 시범사업 적용 및 운영, 사업효과성 검을 맡고 제도개선·정책기획 분과는 서울의대 김윤 교수가 정책마스터플랜을 세울 예정이다.
보사연 신영석 선임연구위원은 확산·실행 분과위원장으로 예산 편성 및 바우처 확대부터 기술적용 및 확산전략을 세우는 역할을 맡는다.
즉, RCT연구 및 시범사업을 통해 효과성을 검증하고 필요하다면 그에 맞게 법을 제정하고 수가를 마련, 예산 편성까지 논의부터 현실화까지 포럼을 중심으로 추진하겠다는 얘기다.
미래보건의료포럼의 향후 계획은 무엇인가?
그렇다면 미래보건의료포럼은 현재 의료시스템을 어떻게 바꿀까.
적용 대상은 노인환자를 시작으로 장애인 및 저소득층으로 타깃을 확대하고 최종적으로 직장인, 임산부, 학생 등 전체로 타깃을 확대할 예정이다.
적용 질환도 당뇨 및 고혈압, 치매 등 고령화 관련 질환으로 시작해 암, 비만으로 확대하고 마지막 단계에서는 정신질환까지 포함시킬 계획이다.
1단계에서는 진단 및 치료와 관련해 활용가능한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주력한다.
이어 2단계에서는 ICT를 기반으로 운동량과 생활패턴을 인식하는 생활습관 모니터링 서비스를 도입하고 혈압 및 혈당에 대한 생체신호 측정 기술을 현실화한다.
특히 격오지 환자 등 의료취약계층 환자는 ICT기술을 근간으로 한 플랫폼 구축을 통해 자가진단이 가능한도록 할 예정이다.
마지막 단계는 ICT기술을 활용해 우울감을 측정, 관리하고 치매를 조기에 진단 및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생애주기별 혹은 질병관리 정보를 제공한다.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윤영호 교수는 "델파이 조사를 통해 ICT기술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환자군과 질환을 정했다"면서 "뜨거운 토론을 통해서 합의안을 도출하고 현실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 매달 포럼을 통해 논의를 구체화해나갈 것"이라면서 "원격의료는 ICT기반 보건의료서비스의 극히 일부분으로 환자가 기술발전에 따른 혜택을 최대한 누릴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