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외국인 환자 불법브로커로 의심되는 17명의 명단을 확인, 수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이미 서울 소재 의료기관 29개소를 대상으로 점검을 실시했다.
보건복지부는 27일 경찰청과 외국인환자 불법브로커 점검 결과 불법브로커로 의심되는 17명의 명단을 확인하고, 이에 대해 수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서울 소재 의료기관 29개소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복지부와 경찰청을 비롯해 지자체,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117명이 참여했다.
불법브로커로 의심되는 17명의 명단은 의료기관이 제출한 상담장부, 진료기록부 등 서류와 사실확인서 등을 토대로 작성됐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불법브로커 의심자 17명에 대해 경찰청에 수사를 의뢰했으며, 점검대상 의료기관 중 진료기록부를 부실 기재한 1개소에 대해서는 의료법에 따라 경찰에 고발했다.
점검결과, 외국인환자 10명을 소개하고 통역비 명목으로 대가를 받은 사례 등이 적발됐다.
복지부는 향후 경찰의 수사 결과에 따라 불법브로커로 확인되는 경우 의료법 등 관련 규정에서 정한 처벌이 이루어질 계획이다.
현재 의료법 등에 따르면 외국인환자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복지부에 등록하여야 하며, 등록하지 않고 외국인환자를 유치하는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의료 해외진출법에 따른 외국인환자 불법브로커 신고포상제가 시행되고 불법브로커와 거래한 의료기관에 대한 처분도 신설됨에 따라, 복지부와 경찰청은 앞으로도 외국인환자 불법브로커 단속을 위해 협력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오는 9월 진료비․수수료를 조사하여 공개하고, 유치의료기관을 평가해 우수한 기관을 지정하는 등 우리 의료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복지부와 경찰청은 지난 4월 불법브로커 단속을 위해 기관 간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5월 25일 관계기관 합동으로 일제 점검을 실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