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공중보건의 역학조사관이다. 4년 간 내과 전공의로써의 삶을 마친 후 공중보건의로 배치를 받고 난 이후에야 역학조사관이라는 존재를 알게 되었다. 역학? 왠지 점을 보고 관상을 봐야 할 것 같은 이름이군. 대체 뭘 해야 하는 건지 채 파악하기도 전인 업무 1주일 째, 우리나라에 메르스 첫 환자가 확진 되었다.
지금은 어린 아이라도 줄줄 읊어댈 메르스지만 당시만 하더라도 메르스라는 병이 대체 어떤 병인지 제대로 아는 사람이 없었다. 2012년 처음 만들어졌다는 메르스 지침은(이 또한 현재는 신경과 펠로우로 고생 중이신 모 공보의 역학조사관 선배님의 손에 의해 만들어졌다) 제대로 업데이트도 되질 않았다. 그나마 접근하기 쉬운 미국 CDC의 메르스 가이드라인과 연구 논문에서는 재생산 지수 0.7에 미국에서는 전파 사례가 거의 없다는 희망적인 내용을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었다. 그런 정보들을 토대로 우리는 고위험 접촉자의 기준을 정하고, 그에 따른 격리 수준을 분류했다. 누군가는 며칠만 고생하자고, 그러면 끝날 거라고 호언 장담했다.
결과적으로는 그 누구라도 다 알듯이, 5월 말부터 11월이 다 지날 때까지 우리나라는 메르스 때문에 고통을 받게 되었다. 많은 환자들이 메르스로 인해 사망했고, 경제적 손실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초기 역학조사가 미진해 방역에 구멍이 뚫렸다는 진단아래 국가는 해결책으로 30명의 전문 임기제 역학조사관을 뽑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질병관리본부의 '마지막' 공보의 역학조사관으로 약간은 정체성이 흔들리고 있을 때 바로 그 위치가 지금의 나이다.
내 역학조사관 생활의 절반 이상이 메르스와 함께였기에, 메르스 때의 역학조사에 대해서 가장 얘깃거리가 많다. 주로 활동했던 지역은 대전이었는데 처음으로 코호트 격리를 진행했던 대청병원에 거의 살다시피하면서 환자를 만나고, 격리 상황을 점검하고, 새롭게 추가 발생될 수 있는 상황을 차단하기 위해 열심히 다녔다. 대전 지역 초창기 환자분께서 결국에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는 마치 주치의 때 담당 환자가 돌아가셨던 것 같은 상실감을 경험했고, 대전 지역에 추가 환자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경험했던 뿌듯함은 지금도 내게 힘이 된다.
그래도 대전에서 타 지역에 비해 짧은 시간 안에 유행을 종식시킬 수 있었던 이유를 꼽으라면 난 무엇보다도 '협력'이라고 얘기한다. 역학조사관 팀의 역학 조사를 통한 정보 제공 및 방역 기준의 제공, 의료기관에서의 헌신적인 치료, 그리고 행정적인 지원을 담당했던 질본과 대전 시청의 co-work이 다른 곳에 비해 훌륭했다고 평가한다. 이러한 나의 경험이 곧 역학조사관의 적절한 포지션을 가장 잘 설명 해준다고 생각한다.
역학조사관 교육 당시 이라는 미국 드라마를 보면서 미국의 역학조사관은 이러한 일을 하고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을 간접적으로나마 알 수 있었다. (물론 드라마이기 때문에 과장 또는 미화된 부분이 분명 있겠지만) 그들의 그전문성과 권한, 그리고 책임감을 참 많이 부러워했던 기억이 난다.
단순히 그들을 부러워하기 보다는 우리나라에 현재 상황보다는 더 나은 역학조사관 제도가 정착되게끔 하는 것이 아마 남은 임기 동안에 나에게, 또한 마지막 남은 질본 공보의 역학조사관들에게 주어진 책임일 것이다.
두서 없이 나열한 나의 얘기를 마무리하면서 진심을 담아 역학조사관 제도의 발전을 위하여 몇가지 제언을 하려고 한다.
첫번째, 담당 기관에서는 체계적인 시스템과 정당한 권한을 부여해주길. 역학조사관은 질병에 있어서는 군대나 다름 아니지 않은가. 군대가 전쟁이 없다고 해서 훈련 외에 다른 업무를 안하는 것처럼 역학조사관도 충분히 훈련하고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길 바란다.
두번째, 역학조사관으로 일을 하시게 될 전문 임기제 선생님들께서는 부디 본인의 identity를 지키시길. 미국 역학조사관 제도의 근간은 그들의 프라이드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한다. 역학조사관으로써의 역할과 책임을 담당함에 있어서 결코 쉽게 생각하거나 가볍게 접근하지 않으시길.
마지막으로는, 외부의 보건 의료직에 종사하고 있는 선생님들께 많은 관심과 격려를 부탁 드린다. 또한 뜻이 있는 많은 선생님들의 지원을 바란다. 결국에는 우리나라의 역학조사관 제도를 확립시키는 것의 가장 큰 책임은 우리나라 의료계에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생소할 수 있는 이 제도가 제2, 제3의 메르스 사태를 방지하는데 있어 큰 기여를 할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를 위해 우리 모두가 보다 더 노력하고 협력하여 오히려 미국에서도 벤치마킹 할 수 있을 그러한 역학조사관 제도로 거듭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