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8일 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88회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보건복지부 등이 마련한 '보건산업 종합발전전략'을 논의, 확정했다.
정부는 의약품 및 의료기기 등 분절적 대책을 넘어 보건산업 전반을 조명한 첫 발전 전략이라는 점에 의미를 부여했다.
의약품의 경우, 첨단 및 차세대 의약품 및 백신 등 전략적 연구개발을 강화하기 위해 대학과 병원 등 기초연구 성과를 제약기업으로 이전해 사용화를 지원하고(2018년), 글로벌 항체신약 개발(2017년), 백신개발 투자 확대(2016년 95억원→2017년 116억원) 등을 추진한다.
글로벌 신약 개발은 2015년 2개에서 2020년 17개를, 글로벌 50대 제약기업은 2015년 0개에서 2018년 2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의료기기는 영상진단기기 등 10대 분야에서 우수기업을 선정해 기술개발에서 임상시험 및 수출까지 연계 지원하고(2018년), 의료로봇 등 실용화를 위한 중개연구 확대(2016년 6개→2017년 10개)한다.
또한 국산 의료기기 사용경험 확대 및 유통 관리 선진화를 위해 의료기기 성능 비교검증 지원을 확대하고, 2017년 의료기기 고유 식별코드를 도입할 계획이다.
화장품의 경우, 유망 분야 R&D 투자 신설(2017년 예비타당성 조사)과 국가별 피부특성은행 확대(2015년 4개→2017년 19개 도시), 화장품 원료전문 우수기업 지정(2017년), 화장품 포장규제 개선(포장공간비율 10~25%→35%) 및 한류-뷰티-의료 연계 사업화 프로그램 운영(2017년) 등을 병행한다.
초기 산업인 정밀의료와 재생의료 제도화도 추진한다.
국가전략프로젝트로 선정된 정밀의료를 유전체 정보 등 코호트 구축(10만명)으로 연구와 산업 목적을 개방하고(2017년~2021년), 3대 진행성 암 환자 임상시험을 통한 맞춤형 치료법 도출(2017년~2021년) 등 정밀의료 기반을 마련한다.
병원 내 신속 적용제도 등 첨단재생의료법 제정을 통해 임상 진입 후 환자 치료에 사용되는 기간의 대폭 단축한다는 방침이다.
진료정보 교류에 기반한 대형병원과 중소병원 간 협진 활성화(2017년)와 공공기관 보건의료 빅 데이터 연계 플랫폼 구축으로 질병 재발률 분석, 약물반응 예측(2017년 시범사업→2018년 본사업) 등을 중점 추진한다.
더불어 연구중심병원 기능 강화와 연구성과 기술사업화 전담조직(TLO) 확대(2015년 53개→2020년 100개), MD-PhD 기술협력 지원 등으로 의료창업을 촉진할 예정이다.
병원과 기업, 연구소가 결합된 한국형 메디클러스터 육성을 위해 홍릉바이오, 헬스 클러스터를 조성하고(2016년~2018년), 첨단의료복합단지 임상시험센터 설치(2018년), 아이디어부터 마케팅까지 전주기를 지원하는 바이오헬스 비즈니스 코어센터(가칭, 2017년) 등을 육성한다.
복지부는 이를 통해 보건산업 수출을 2015년 9조원에서 2020년 20조원으로, 일자리를 2015년 76만명에서 2020년 95만명으로 확대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
보건산업정책과(과장 염민섭) 관계자는 "의약품과 의료기기부터 첨단의료까지 전체 보건산업을 망라하는 계획을 통해 분야 간 시너지를 내고, 창조 협력 모델을 만드는 계기가 될 것"이라면서 "보건산업에서 좋은 일자리가 만들어지고, 국민 건강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