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주치의'라는 이름을 달고 사업을 진행하는 수원시. 절차와 명칭을 놓고 문제를 제기하는 수원시의사회. 이들은 합의점을 찾을 수 있을까.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생긴 오해로, 수원시 측이 앞으로 지속적인 소통을 약속했다.
20일 수원시 관계자는 "전국 최초로 시행하는 사업이만큼 초기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 상황을 수원시의사회 등과 논의를 통해 보완해 나갈 것"이라며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취지가 좋은만큼 의료기관의 참여율도 높은 편"이라며 "오늘이 사업 참여기관 모집 마감날이다. 40개소 선정이 목표였는데 넘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수원시가 추진하고 있는 아동주치의제는 생활환경이 어려워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 아동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초생활수급자, 한부모 가정 등 취약계층 아동 중 정신, 구강, 시력 등 6개 질환이 있는 만 6세이상 12세 이하 아동이 지원 대상이다. 매년 1000명씩, 한 명당 최대 37만원까지 치료비를 지원한다.
수원시는 2014년부터 사업을 준비하며 수원시의사회, 수원시 소아청소년과개원의사회와 접촉을 해왔다. 그러다 지난해부터는 수원시 소아청소년과개원의사회와만 사업 관련 간담회를 가졌다.
수원시의사회는 절차와 명칭의 문제를 지적하고 나섰다. 수원시의사회와 논의를 전혀 거치지 않았고, '주치의'라는 명칭은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수원시의사회 관계자는 "주치의라는 용어 자체의 정의에 따라 각양각색의 견해가 있고 그 중에는 의사의 진료권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경우도 있다"며 "서울시나 성남시 등에서 비슷한 이름으로 시행되려 했던 사업이 명칭을 바꾸거나 사업이 지지부진하게 된 적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사업 내용의 옳고 그름을 떠나 의사회는 사업의 중요한 동반자"라며 "일방적인 관주도의 사업보다는 중요한 동반자로서의 관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대 목소리가 높아지자 수원시는 그간의 논의과정을 공개하고 소통을 약속하는 내용의 공문을 보내며 수원시의사회의 문제제기에 응답했다.
수원시 관계자도 "다음주 중 사업에 대한 자문단을 구성하고 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진행하는 등 수원시의사회를 비롯해 관련 기관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