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성모병원과 국립중앙의료원, 강원대병원 등이 응급실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자로 선정됐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2일 보도참고자료를 통해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총 27개에서 42개 응급실로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은 병원 응급실에 배치된 전문 상담인력이 자살시도자에게 전화 또는 방문상담을 제공하여 자살재시도를 예방하는 사업이다.
사업수행기관을 공모 심사한 결과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강원대병원, 국립중앙의료원 등 15개 응급실에서 추가 선정됐다.
사업을 시행하는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는 치료비도 지원받을 수 있다.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의 기금으로 지원되는 치료비는 1인당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되며, 총 지원액이 2016년 2억 5000만원에서 2017년에는 4억원으로 확대됐다.
경기 부천시 50대 여성 B 씨는 10년 전 이혼 후 일용직으로 일해 왔으나 손목인대가 손상되어 일자리를 잃고, 자살을 시도했다.
사례관리자는 자살시도로 입은 상처를 치료할 비용도 없이 무작정 퇴원한 B 씨를 설득하여 정신건강증진센터로 연계했으며, 정신건강증진센터의 도움으로 우울증을 치료받고, 생계비지원과 의료급여 대상으로 선정된 B 씨는 이제 안정을 되찾아가고 있다.
제주대병원 응급의학과 강영준 교수는 "자살시도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들은 자살시도로 인한 상처나 중독을 치료하는 것 못지않게 사후관리가 중요하다"면서 "응급실을 나간 후 다시 극단적인 선택을 하지 않도록 정신과 치료나 사회 경제적 지원 등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도록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은 3일 오전 제주대병원을 방문하여 각 응급실 사업 실무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격려할 예정이다.
정 장관은 "우리나라 자살률이 2011년 31.7명에서 2015년 26.5명으로 감소한 것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정성을 다해 일하는 현장실무자들이 있기 때문"이라면서 "생명을 살리는 중요한 일을 한다는 사명감을 갖고 일해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