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혈액암 환자의 조혈모세포 치료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유전자를 국내 연구팀이 발견했다.
강남세브란스병원은 진단검사의학과 이경아 교수팀이 '조혈모세포 가동화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대상으로 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 릴랙신/인슐린 유사 집단 펩티드 수용체4(이하 RXFP4)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혈액암은 혈액을 만드는 유전자에 이상이 생겨 혈액과 림프계에 발생하는 암이다. 돌연변이 세포가 온 몸을 통해 흐르다 암세포로 변하는 것. 주로 조혈모세포 이식이나 항암제로 치료한다.
조혈모세포 이식치료는 조혈모세포를 많이 투여할수록 치료 성공률이 높아진다. 조혈모세포는 주로 골수에 존재하며 백혈구와 적혈구, 혈소판 등 혈액세포를 만든다.
조혈모세포 가동화 과정은 조혈모세포를 골수에서 혈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조혈모세포를 많이 채집하기 위해 가동화를 돕는 약제를 환자나 공여자에게 투여한다.
이경아 교수팀은 조혈모세포 가동화와 관련있는 ▲혈액 내 조혈모세포 수 ▲채집산물 내 조혈모세포 수 ▲공여자 체중 당 조혈모세포 수 등 3가지 지표를 조사했다.
연구팀은 56명의 공여자와 9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혈모세포 가동화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되는 33개의 후보 유전자에 위치한 53개 다형성 부위 유전자형을 분석했다.
그 결과 RXFP4 유전자가 3가지 지표에 모두 연관성을 보였다.
이 교수팀은 한국인에게서 관찰한 결과가 다른 인종에도 적용되는지 평가하기 위해 101명의 유럽인을 대상으로 같은 검사를 시행했다. 비교 결과 유럽인에게서는 말초혈액 내 조혈모세포수와 RXFP4 유전자형 사이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 교수는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혈모세포 수집 결과에 한국인에게서만 특정 유전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며 "이번 연구는 한국인을 위한 조혈모세포 가동화 약제 등 혈액암 치료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 공공도서관에서 간행되는 과학저널 플로스원(PLoS one) 최신호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