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의 노력에 불구하고 입원전담전문의가 빠르게 증가하지 못하는 모양새다.
24일 복지부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 2016년 9월경 입원전담의 시범사업 시행 초기 56명으로 시작한 이후 꾸준히 늘어났지만 69명에 그치고 있다.
지난해 시범수가를 평균 40%까지 인상한 데 이어 올해 초 100병상 전체 종합병원으로 확대한 것을 감안하면 초라한 성적표다.
지난해 말경 서울아산병원과 인하대병원이 파격적으로 인원을 확충하고 최근 국립암센터, 동탄성심병원 등에서 제도를 도입하면서 탄력을 받는가 했지만 소수에 그치는 수준이다.
외과계는 더욱 열악한 실정이다. 실제로 서울대병원은 최근 외과 입원전담전문의 추가 채용 공고에 나섰지만 아직 지원자를 찾지 못했다.
서울대병원 관계자는 "2명 정원에서 최근 1명을 추가 채용하기로 결정하고 공고를 냈지만 연락오는 지원자가 없다"면서 "입원전담인력을 늘리고 싶어도 인력부족으로 늘릴 수 없는 게 현실"이라고 전했다.
그나마 서울대병원 내과는 전문의 5명이 한팀으로 작년 3월부터 입원전담전문의 병동을 가동 중이지만 외과는 인력 충원이 어려워 소수의 인력으로 운영하는데 그치고 있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도 힘을 받지 못하는 이유가 뭘까.
모 대학병원 입원전담전문의는 "제도화했다고 하지만 여전히 또 하나의 직역이라는 개념이라기 보다 전공의 특별법 시행에 따른 대체인력이라는 인식이 크다"면서 직업 안정성에 한계점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 내과학회 엄중식 수련이사는 "생각보다 제도 정착이 더딘 게 사실"이라면서 "그 배경에는 병원별로 상황이 다르고 입원전담의에 대한 모호한 역할 등 몇가지 요인이 있다"고 전했다.
최근 달라진 세태도 영향을 미쳤다. 그는 "요즘 젊은 의사들은 급여 이외 삶의 질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당직 근무를 기피한다"면서 "이와 함께 서울, 경기 이외 지방이 활성화 돼야 하는데 상당수 의사들이 지방을 꺼리는 것도 원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하지만 아직 포기하기에는 이르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엄 수련이사는 "내과학회 차원에서는 3년제 전환 이후 전문의 배출 시점인 2020년, 입원전담의가 급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 "이를 위해 인증 절차 등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 관계자는 "아직 저조하지만 계속해서 정부차원의 당근책을 마련하고자 논의 중"이라면서 "수가 등 개선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