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초음파 시행 주체를 놓고 정부와 대형병원 개원가가 각을 세우며 대립하자 실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소노그래퍼들은 답답한 마음을 내보이고 있다.
하루에도 몇번이나 자신들이 언급되지만 헤게모니를 둘러싼 그들의 고래등 싸움에 끼어들 수 있는 공간조차 없는 이유다.
A대학병원 소노그래퍼는 18일 "나라고 처음부터 소노그래퍼를 꿈꿨겠느냐"며 "어쩌다 보니 이 길로 들어섰고 시간이 지나며 전문성이 생기면서 여기까지 오게 된 것"이라고 운을 뗐다.
그는 이어 "하지만 매일 같이 우리를 두고 불법이다 합법이다 없애야 한다 말아야 한다 이야기가 나오니 마음이 편할 일이 있겠느냐"며 "차라리 빨리 정리가 됐으면 하는 마음"이라고 덧붙였다.
완전히 이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실태조사에 나선 보건복지부와 인증제를 추진중인 대한심장학회, 이를 반대하는 개원 의사들의 목소리 속에서 오히려 갈길을 잃고 있다는 하소연이다.
더욱이 이러한 주장들이 맞부딪히며 논란이 지속되는 순간에 오히려 자신들의 목소리는 전달될 기회가 없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답답함을 호소하고 있다.
A대병원 소노그래퍼는 "교수들도 그렇고 전공의들도, 방사선사 등도 단체를 통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통로가 있지만 우리는 그런 것도 없지 않느냐"며 "솔직히 그냥 처분을 기다릴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털어놨다.
이어 그는 "결국 고래등 싸움에 중간에 끼어 우리 등도 터지나 불안불안 하루를 넘기고 있는 셈"이라며 "솔직히 우리도 이걸 특기로 취업한 것이 아닌데 억울한 측면도 있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소노그래퍼의 전문성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상당한 시간동안 확보한 전문성을 의사가 아니라는 이유로 무조건 배척하는 것에 대한 서운함이다.
B대병원 소노그래퍼는 "물론 숙련된 의사가 에코(심초음파)를 보는 것이 가장 정확하고 확실하다는 점은 분명히 인정한다"며 "하지만 마치 아무 것도 모르는 문외한이 에코를 잡은 것처럼 취급되는 것은 솔직히 불쾌할 수 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아울러 그는 "우리가 하는 일 또한 확진이 아니라 교수들이 진료를 보기 전에 우선 1차적으로 경중을 분류하는 일종의 게이트키퍼 역할"이라며 "현실적으로 교수들이 모든 환자의 초음파를 볼 수 없다면 우리가 이 역할을 담당하기에 전문성이 부족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