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상급종합병원 문전약국 10곳 중 4곳에서 가루약 조제가 불가능해 환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환자의 대기시간이 2시간이 넘는 경우도 허다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다만, 가루약 조제의 어려움을 단편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닌 상급종합병원 환자 쏠림 현상이나 가루약조제의 안정성도 고려해야 된다는 주장도 함께 나왔다.
서울시 환자권리옴부즈만은 6일 오전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3회 환자권리포럼'을 개최하고 및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논의는 '서울시 상급종합병원 문전약국 가루약 조제 현황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됐으며, 실태조사는 서울시 소재 13개 상급종합병원으로부터 직선거리 1km 이내 약국 중 접근성이 떨어지는 약국을 제외하고 128곳을 대상으로 전화조사를 실시했다.
실태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128곳 중 가루약조제가 불가능한 곳은 58곳(45.3%)이었으며 가루약 조제가 가능한 곳은 70곳(54.7%)이었다.
가루약 조제가 불가능하다고 밝힌 58곳의 불가능 사유는 △처방된 약을 구비해 두지 못해서 15개소(25.9%) △가루약 조제 기계가 없어서 12개소(20.7%) △처방전을 약국에 가져오지 않아서12개소(20.7%) △가루약 조제 기계가 고장 나서 7개소(12.1%) △다른 환자들의 대기시간이 길어져서 2개소(3.4%) △기타이유 10개소(17.2%) 순으로 나타났다.
또 가루약 조제가 가능하다고 밝힌 문전약국(70곳)의 조제 대기시간은 △1시간 미만 13개소 △1시간 ~ 3시간 미만 26개소 △3시간 미만 20개소 △알 수 없음 11개소 등으로 조사됐다.
발제를 맡은 환자단체연합회 안기종 대표는 "가루약 조제의 경우 동네약국의 거부는 거의 없고 상당수 문제는 상급종합병원의 문전약국"이라며 "상급종합병원을 장기간 방문한 환자는 어디가 가루약 조제가 가능한지 알고 있지만 처음 가루약 조제를 하는 환자는 매번 똑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안 대표는 "하지만 환자들이 가루약 조제가 가능한 약국을 매번 찾기는 쉽지 않다"며 "특히 조제 대기시간은 가루약조제가 필요한 환자와 약국을 이용 중인 환자 모두에게 영향을 주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안 대표는 가루약 조제 개선방안으로 △'가루약 조제 지정 약국제(가칭)' 도입을 통한 조제료 수가 가산 체계 구축 △가루약 조제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약국의 평가 지정제 등을 제시했다.
한편, 이어지는 토론에서 대한약국학회 김예지 약료위원장은 문전약국에서 가루약조제의 어려움과 안정성 문제를 언급했다.
김 위원장은 "지금 상급종합병원 환자 쏠림으로 인해 문전약국에도 환자들이 많이 있다"며 "가루약 조제의 경우 3개월, 길면 12개월 까지 처방이 되는데 이것을 가루약으로 만들었을 때의 안정성 또한 보장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미 약국에 환자가 많은 상황에서 환자 대기시간도 길어질 뿐만 아니라 환자 모니터링을 하기 힘들다"며 "정부가 제도적으로 문전약국 외에도 가루약을 제조하는 약국을 정해서 지역약국을 활성화 시키고 가루약 안정성에 대해서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가루약 조제와 관련된 모니터링을 통해 추후 논의통해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약무정책과 윤병철 과장 "가루약 조제 문제가 전체적인 제도의 틀을 바꾸는 것이 아닌 한 가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며 "여러가지 다양한 제도 패러다임을 바뀌는 것은 일정 부분 동의한다"고 말했다.
이어 윤 과장은 "건정심을 통해 조제료 수가 개선이 정해졌고 급여가 나가게 되면 가루약에 어떤 약제를 명확히 볼 수 잇을 것으로 본다"며 "전체적인 추이를 지켜본다면 추후 분석을 바탕으로한 논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