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구로병원, 서울 대형병원 중 유일하게 유치...긍정적 반응
기업과 의사간 협업이 최대 장점...2년 약정은 한계 지속성 필요
문성호 기자
기사입력: 2019-07-16 06:00:58
가
URL복사
"처음해보는 시도다. 3년이 아니라 길게 내다봐야 한다."
대학병원 실험실 장벽을 허물어 헬스케어 스타트업들의 연구 활동 지원을 위해 시작한 '개방형 실험실 구축사업'이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다.
메디칼타임즈가 지난 15일 직접 가본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개방형 실험실' 오픈 현장에서는 임상의사와 벤처기업의 협업 관계 구축이라는 사업 추진 목적이 그대로 드러나면서도 제도의 연속성 측면에서는 의문이 제기됐다.
개방형 실험실 구축사업은 복지부가 올해 처음으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연구 역량과 인프라를 보유한 병원과 벤처기업이 연계해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건‧의료 분야 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다.
고대 구로병원의 경우 기존 연구중심병원으로서의 역량을 인정받아 서울에서는 유일하게 복지부로부터 지정받았다.
3년간 총 24억원을 지원받게 되는 고대 구로병원은 기존 재단 건물을 활용해 17개 기업의 입주 공간과 실험대, 세포 및 진단 부석장비 등 핵심 기기 등도 구축해 공식적으로 개방형 실험실을 오픈했다.
이에 따라 참여기업으로는 건물 입주기업 17곳과 함께 비입주기업 7곳, 공동연구회 5곳 등이다.
특히 이 중에는 다른 대학병원 교수도 시스템 개발을 위해 참여해 눈길도 받고 있다. 서울성모병원 조재형 교수(내분비내과)가 참여해 스마트병원시스템 개발하고 있는 벤처회사인 'iKOOB'이 대표적이다.
이들 참여기업은 앞으로 개방형 실험실의 연구 인프라를 활용해 개발 중인 의료기기 등의 사업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임상 의사들의 자문 및 컨설팅을 받게 된다.
사업단장인 고대 구로병원 송해룡 교수(정형외과)는 메디칼타임즈와 만나 "임상의사와 기업이 협업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마련했다는 데 의미를 둘 수 있다"며 "개방형 실험실에 참여하는 벤처기업 입장에서는 과제계획서를 쓰는 데 큰 이점이 있다. 임상적으로 의사로부터 의견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처음으로 시도되는 제도인 탓에 '연속성'을 둘러싼 한계는 분명하다는 지적도 제기했다.
개방형 실험실 구축사업의 정부지원이 3년으로 한정된 것인데, 향후 제도에 더해 입주기업들의 연속성도 담보돼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송해룡 교수는 "처음으로 시도하는 것이기 때문에 길을 갈고 닦아 나가야 한다"면서도 "긴 안목으로 장기적으로 사업을 해나가야 한다. 개방형 실험실 들어왔다고 제품 개발이 하루 아침에 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아직 장비를 모두 들여놓지 않았는데 2년 후 입주기업도 바꿔야 한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며 "보다 많은 벤처기업들에게 기회를 주자는 것도 있지만 미래가 있는 벤처기업들에게도 장기적인 미래를 제시해 줘야 한다"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제도를 설계한 복지부는 이를 두고 향후 추가적인 논의를 통해 제도의 발전 가능성을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하는 한편, 향후 개방형 실험실에 참여하는 벤처기업과 임상의사의 역할 설정 문제를 두고서는 개입 의사가 없다고 밝혔다.
제품 사업화를 둘러싼 관계 설정은 전적으로 임상의사와 해당 벤처기업 간의 몫이라는 것이다.
함께 자리한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과 서승완 사무관은 "개방형 실험실에 입주한 벤처기업에 임상적 의견을 제시하는 의사가 어디까지 참여할 것인지는 전적으로 의사와 해당 벤처기업 간의 책임"이라며 "임상 자문만을 할 것인지 미래를 보고 투자를 결정할 것인지는 복지부가 관여할 문제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가이드라인 제시도 없을 것"이라며 "개방형 실험실의 목적은 벤처기업들이 쉽게 접하기 힘든 임상적 의견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이 후에 사업화에 대한 관계설정은 이들의 문제"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