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가 수십년간 이어온 4년제 수련제도를 3년제로 전환하면서 내부적으로 끝없는 잡음이 일고 있다.
이미 3년전에 공표된 내용이지만 막상 수련기간 단축이 현실로 다가오자 학회도, 수련병원도, 교수도, 전공의도 모두가 아우성을 치는 모습.
이들이 주장하는 이유들은 대동소이하다. 당장 3, 4년차가 한번에 나가고 나면 그 공백을 어떻게 하냐는 것이다. 결국 그 구멍을 누가 메우느냐가 그 많은 아우성을 관통하는 핵심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내과가 왜 3년제를 도입했는지 배경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내과가 3년제를 도입한 가장 큰 이유는 수련기간이 너무 길다는 지적 때문이다.
세부 분과 전공이 사실상 하나의 트랙으로 굳어진 내과의 경우 4년 수련 후 세부 분과 2년을 거치며 사실상 6년이 공식 수련제도가 된다. 이로 인해 전공의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는 만큼 전공의 수련 기간을 3년으로 줄여 총 수련 기간을 5년으로 단축해보자는 것이 당초의 취지였다.
물론 내과의 인기가 사드라들며 전공의 충원율이 사상 처음으로 100%를 밑돌며 미달 사태를 겪은 것도 한 몫을 한 것도 사실이다.
이로 인해 내과 위기론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지지부진하게 논의만 지속되던 수련 기간 단축 문제가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고 결국 올해 그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게 됐다.
그렇다면 그렇게 내과가 자체적으로 마련한 수련기간 단축안을 두고 왜 내부에서 수많은 말들이 나오는 것일까.
결국 각자의 시각에서 전공의를 바라보는 시각에 해답이 있다. 하지만 이 모두를 관통하는 핵심은 결국 '인력'이다. 당장 전공의들이 나가고 나면 소는 누가 키우냐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