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왕준 실무단장, 음압병동 갖춘 일선 중소병원 공공적 역할 제시
|병협 임원진들, 선대응 후보상에 공감대 형성…진단키트 보급 시급
이지현 기자
기사입력: 2020-01-29 05:45:57
가
URL복사
"내일(29일)이면 국가지정 감염병 의료기관으로 선정된 병원 내 음압병동에 남는 병상이 없을 것이다. 메르스 당시 음압병상을 갖춘 300병상이상의 종합병원도 역할을 해줘야한다."
대한병원협회 비상대응본부 실무단장을 맡은 명지병원 이왕준 이사장은 지난 28일 열린 첫번째 비상대책회의에서 국가지정 격리음압병상이 부족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현재 신종 코로나 감염증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키트가 일선 의료기관에 지급이 안되는 상황.
음압병동을 갖춘 국가지정 감염병 의료기관도 검체를 질병관리본부로 보내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까지 약 12시간이 소요된다.
즉, 의심환자를 격리음압병동에 입원시킨 상태에서 검사 결과를 확인하기까지 격리 상태를 유지해야하다보니 음압병동이 풀 가동될 수 밖에 없는 상태.
이왕준 단장은 "현재 일선 의료기관에 진단키트 보급이 안되고 있어 2월초 진단키트를 보급하기 이전까지 잘 버텨야하는 것이 우리의 역할"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지역응급의료센터나 음압병상을 갖춘 300병상이상의 종합병원까지 역할을해줘야 국가지정 감염병 의료기관이 제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대신 이후에 충분한 지원이 있을 것이라는 신뢰를 줘야한다"고 말했다.
회의에 참석한 국립중앙의료원 정기현 의료원장도 "검체검사 역량을 확보하면 음압병동 환자 순환이 빨라질 수 있다"며 "내달 초 진단키트 보급 이후 검사 속도가 빨라지면 병원들 대응도 용이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병원계 인사들은 일선 병원들의 선제적인 대응체계 필요성을 강조했다.
의료법인연합회 이성규 회장은 "중소병원들은 선별진료소를 별도로 둬야하는지 혹은 의심환자 진료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혼선이 있다"며 "특히 초기대응단계에서 인력과 비용을 쏟아부어 선별진료소를 둬야하는지 등 고민이 있다"고 전했다.
비상대응본부 자문단장을 맡은 이송 서울성심병원장은 "정부가 긴급 예산을 풀어서 일선 의료기관에 마스크와 방호복을 지원하면 초기 방역대응 효과가 클 것"이라며 정부차원의 지원을 요구하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 상황에서는 비용보상 등의 문제는 차후에 논의하고 선제적인 대응으로 감염 확산 차단에 전력을 쏟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병원협회 유인상 보험위원장은 '선시행 후대'을 강조하며 "이미 상당수 병원들은 입구에 마스크를 비치해 두고 있으며 채혈기구도 추가로 비용을 들여 설치해 감염 확산에 나서고 있다"며 "보상 여부는 후한 폐렴 종식 이후에 정부와 협의할 부분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앞서 메르스 사태에서도 병원들이 선제적으로 비용을 들여 감염관리에 나선 부분에 대해 보상을 받아낸 바 있다"며 "회원병원에도 충분히 보상받을 수 있다는 신뢰를 주고 선행적 행동에 나설 것을 권하는 게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양대의료원 최호순 의료원장 또한 "한양대병원은 대학교와 붙어있고, 대학 유학생 중 상당수가 중국학생들로 최근 춘절을 맞아 중국에 다녀온지라 선별진료소를 설치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지자체 지침 여부를 떠나 각 병원의 상황에 맞게 감염 관리에 나서야한다고 본다"고 했다.
이에 대해 병원협회 임영진 회장은 "지금은 초기대응상황인 만큼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이 중요한 시점"이라며 "정부의 지원 혹은 보상에 대해 신뢰를 갖고 대응해달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