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 미래포럼서 의사과학자 양성 체계 필요성 제기
|의대교수들 "기초의학 교수 중 의사 출신 절반도 안돼"
박양명 기자
기사입력: 2020-02-01 05:45:58
가
URL복사
"기초의학을 공부하는 의사 씨가 말랐다."
서울의대 김종일 교수(생화학교실)는 의사면허를 딴 후 '연구'에 관심을 갖고 기초의학을 공부하는 의사가 1~2%에 불과한 현실을 이같이 표현했다. 전문가들은 의과대학 교육부터 의사과학자(MDphD) 양성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31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을 위한 의사과학자 양성 방안'을 주제로 제6회 헬스케어 미래포럼을 열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기초의학 분야에 뛰어드는 의사부터가 희귀한 상황. 서울의대만 놓고 봤을 때 병리학과 예방의학을 제외한 기초의학 전공을 원하는 의사는 2017년에는 0명, 2018년에는 한 명 수준이었다.
기초의학 교수는 2004년부터 10년 동안 87명만 늘었다. 의 중 의사 출신은 절반도 안 되는 32명이었다. 기초의학 교수 중 의사 비율은 2004년 71.7%에서 2013년 69.3%로 줄었고 전공의 제도가 있는 병리학, 예방의학을 제외하면 그마저도 50% 미만이다.
미국은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2014년 미국국립보건원(NIH) 자료에 따르면 25년 동안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의 37%, NIH 기관장의 69%, 미국 국립과학원 의생명과학분야의 60%가 의사과학자였다.
미래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연구' 분야에 진입할 수 없는 환경이 문제라는 데 공통적으로 의견을 냈다.
내과 전문의인 서울의대 최형진 교수(해부학교실)는 10년간 진료를 하다 의사과학자로서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상황.
그는 "의사라면 임상을 무작정 놓기가 힘들다. 1년 중 2개월은 진료를 하고 나머지 10개월은 연구를 하는 등 임상과 연구를 병행하길 원하는 의사가 많다"며 "병원이나 대학은 그런 생각을 갖고 있는 의사를 매력적으로 보지 않는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가와 민간 지원을 생각할 수 있는데 모두 규제적 요소들도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의사과학자를 활용해서 이익을 창출하고 다양한 지원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인센티브가 없다"고 덧붙였다.
김종일 교수도 "의대생을 만나보면 연구도 잘하고 환자도 잘 보고 싶다는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 현실적으로는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라며 "그럼 당연히 환자를 선택할 것이다. 임상과 연구를 모두 잘 할 수 있는 트랙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문가가 말하는 대안은? "국시에 반영, 자율성‧시간 확대"
전문가들은 궁극적으로 학생 때부터 연구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의대 교육 과정부터 바꿔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의대가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고려의대 이영미 교수(의학교육학교실)는 "현재는 학생 때 연구할 동기가 하나도 없다"며 의대 교육과정을 '혁신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고려대 의공학과 김법민 교수도 "연구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관심을 잃지 않고 직접 뛰어들 수 있는 환경을 의대 커리큘럼에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주의대 박태준 교수(생화학교실)는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키워드로 '시간'과 '자율성'을 내세웠다.
박 교수는 "국가고시를 패스해야 하기 때문에 전국 의대가 목표를 채우기 위해 교육을 학원화 해 자율성이 떨어지는 교육을 하고 있다"며 "자율성을 학생이나 교수, 전공의에게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대생 커리큘럼을 보면 숨을 쉴 수 없을 정도"라며 "오후 시간을 비우고 연구를 해보라고 했더니 10~20%는 기초학교실 등을 찾아 연구를 해보겠다며 관심을 보였다. 연구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시간을 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 교육 현실이 학원식이라면 아예 국가고시에 '연구' 분야를 공부할 수 있도록 추가를 하는 것도 방법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스타트업 눔코리아 김영인 대표는 "연구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경험이 중요하다"며 "미국 의사면허 시험에서는 가상의 임상 페이퍼를 주고 임상적 의미를 뽑아내라는 문제가 나오고 있다. 연구자로서의 역량이 의사 면허 취득 과정에서 필수라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최신 논문을 봐야 풀 수 있는 게 아니라 방법론을 잘 익혔는지를 묻는 것을 국시에 추가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세의대 이민구 교수(약리학교실)는 편입학생 비율 결정을 의대에게 맡겨야 한다고 했다.
이 교수는 "의학전문대학원 출신 의대생이 과학기술 교육에 대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연구에 관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4+4 출신이 의사과학자에 대해 긍정적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의대 입학생 중 3분의1은 편입생으로 받으려고 했는데 교육부가 금지하고 있다"며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해 의대가 자유롭게 편입생 비율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