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책
  • 제도・법률

코로나 치료지침 개정…칼레트라·클로로퀸 제외


|국립중앙의료원, 134명 고령 중환자 대비 51병상 추가 확보
|산소투여 환자 스테로이드 권고…개인보호구 기준 탄력 적용

이창진 기자
기사입력: 2020-08-25 11:48:28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개정된 항바이러스 치료제 임상진료 지침에서 칼레트라와 클로로퀸이 제외된다.

국립중앙의료원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는 25일 온라인 브리핑을 통해 수도권 코로나 공동대응 상황과 항바이러스제 임상 진료지침 개정 내용을 발표했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임상위원회 브리핑 모습.
의료원 측은 그동안 확진자 연령분포와 달리 수도권 중심 집단감염의 경우 60세 이상 고령 환자 비율(8월 14일~24일)은 초기보다 줄었지만 서울 31.5%, 경기 38.6%, 인천 31.8%에 이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앙임상위원회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확진환자 연령 분포에 따른 중환자 발생률과 중환자 전환 일수(평균 증상발생 5일째) 그리고 평균 입원기간(21일) 등을 근거로 추계했다.

25일 이후 확진자 수가 평균 225명이라고 가정할 때 9월 1일을 기점으로 8월 14일부터 시작된 수도권 집단발생 환자의 누적 중환자수는 134명으로 추산했다.

현재 가동 중인 수도권 코로나19 중환자실(현재 85개, 중환자의학회 추산)에 비해 50개 부족한 상황으로 서울대병원 등 상급종합병원 협조를 통해 총 51개(서울 31개, 경기 20개) 확보한 상황이다.

항바이러스제 임상 진료지침을 개정을 통해서는 렘데시비르의 사용기준을 제시하고, 기존 사용 권고사항에 있던 칼레트라(Lopinavir/ritonavir)와 클로로퀸(chloroquine/hydroxychloro quine)은 제외했다.

면역조절제로 산소투여를 받고 있는 환자에게 스테로이드 치료 권고를 추가했으며, 중환자 치료권고로 입원초기 검사와 기계 환기치료 시 유의사항, 패혈증쇼크 치료, 산소치료 방법, 저혈압 치료 등을 제시했다.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 상황.
또한 환자 급증에 따른 개인보호구의 제한적 공급을 고려해 기존 메르스 혹은 에볼라 대응 중심의 개인보호구 착용에서 코로나19 감염증 관련 여러 상황에 적절한 개인보호구 착용 기준을 제안했다.

국립중앙의료원 정기현 원장은 "중앙임상위원회는 그동안 3000명 이상 환자의 치료경과를 추적해 코로나 임상양상과 중증도 등 병의 성격을 알게 됐다. 모든 환자들이 입원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다는 사실을 발표한 바 있다"면서 "2차 대유행 우려가 많은 가운데 우리가 알고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대응 방안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댓글 10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 heef*** 2020.09.00 00:00 신고

    먹먹하네.
    의약분업때 당해놓고, 또 당하네. 일단, 코로나 넘기고, 재논의하자. 노력하자.
    추진'강행'은 안해주마. 애초에 논의한 적 없이
    일방적 발표였으니, 재논의도 아닌 거고, 노력이란 애매모호한 말로 다 퉁쳤네. 추진 안 한다가 아니라 강행하지 않는다니,
    (현 정부 꼬락서니를 보면, 관변어용시민단체 다수 동원해, 국민뜻이라며 언론플레이후, 스리슬쩍 통과. 보나마나 '강행'은 아니라겠지.)
    정부 입장에서 도대체 뭐가 양보? 의사는 복귀하도록 노력한다가 아니라 복귀한다고. 욕먹고, 파업한 결과가 참,

    • heef*** 2020.09.00 00:00 신고

      먹먹하네.
      의약분업때 당해놓고, 또 당하네. 일단, 코로나 넘기고, 재논의하자. 노력하자.
      추진'강행'은 안해주마. 애초에 논의한 적 없이

    • heef*** 2020.09.00 00:00 신고

      먹먹하네.
      의약분업때 당해놓고, 또 당하네. 일단, 코로나 넘기고, 재논의하자. 노력하자.
      추진'강행'은 안해주마. 애초에 논의한 적 없이

  • heef*** 2020.09.00 00:00 신고

    먹먹하네.
    의약분업때 당해놓고, 또 당하네. 일단, 코로나 넘기고, 재논의하자. 노력하자.
    추진'강행'은 안해주마. 애초에 논의한 적 없이
    일방적 발표였으니, 재논의도 아닌 거고, 노력이란 애매모호한 말로 다 퉁쳤네. 추진 안 한다가 아니라 강행하지 않는다니,
    (현 정부 꼬락서니를 보면, 관변어용시민단체 다수 동원해, 국민뜻이라며 언론플레이후, 스리슬쩍 통과. 보나마나 '강행'은 아니라겠지.)
    정부 입장에서 도대체 뭐가 양보? 의사는 복귀하도록 노력한다가 아니라 복귀한다고. 욕먹고, 파업한 결과가 참,

  • heef*** 2020.09.00 00:00 신고

    먹먹하네.
    의약분업때 당해놓고, 또 당하네. 일단, 코로나 넘기고, 재논의하자. 노력하자.
    추진'강행'은 안해주마. 애초에 논의한 적 없이
    일방적 발표였으니, 재논의도 아닌 거고, 노력이란 애매모호한 말로 다 퉁쳤네. 추진 안 한다가 아니라 강행하지 않는다니,
    (현 정부 꼬락서니를 보면, 관변어용시민단체 다수 동원해, 국민뜻이라며 언론플레이후, 스리슬쩍 통과. 보나마나 '강행'은 아니라겠지.)
    정부 입장에서 도대체 뭐가 양보? 의사는 복귀하도록 노력한다가 아니라 복귀한다고. 욕먹고, 파업한 결과가 참,

더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