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MO KEYNOTE-024 1차 치료 5년 생존율 공개
|31.9% 상대적 위험 38% 낮춰...질병조절기간도 5배 차이
박상준 기자
기사입력: 2020-09-23 14:24:56
가
URL복사
면역항암제 키트루다가 암의 완치율을 의미할 수 있는 5년 생존율에 31.9% 라는 기록을 새로 썼다. 이로서 비소세포폐암(NSCLC) 치료 영역에서 표준치료제임을 재확인했다. 수치상으로 10명 중 3명은 완치로도 볼 수도 있어 남다른 의미를 갖는다.
최근 유럽임상종양학회(ESMO)가 KEYNOTE-024 연구의 5년 추적 관찰 연구를 공개했다. 해당 연구는 키트루다를 대표할 수 있는 랜드마크 스터디로,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1차 치료시 키트루다와 표준화학요법을 직접 비교했다.
KEYNOTE-024 연구에 참여한 환자는 4기 비소세포폐암으로 EGFR 또는 ALK 등 돌연변이가 나타나지 않으면서 종양발현율 바이오마커 PL-L1 50% 이상인 환자였다. 또 뇌전이 치료 경험이 없고, 치료를 요하는 자가면역 질환이 없는 환자가 대상이었다.
이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각각 키트루다와 백금화학요법을 투여했고, 나중에는 모든 환자에게 키트루다로 전환 투여하는 크로스오버 방식으로 진행했다.
그 결과 키트루다 투여군과 화학항암제 투여군의 5년 전체생존율은 각각 31.9%와 16.3%로, 통계적으로 키트루다 투여군의 상대적 위험을 38% 더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년차부터 벌어진 뚜렷한 생존율 차이는 5년차까지 그대로 이어진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무진행 생존율은 각각 7.7개월과 5.5개월로, 이 또한 키트루다 투여군의 종양진행 및 사망위험 발생을 50% 낮췄다.
객관적 반응율은 키트루다 투여군과 화학항암제 투여군 각각 71%와 47%로 집계됐다. 키트루다 투여군에서 완전반응률이 4.5%나 나온 반면에 화학항암제 투여군에서는 0%였고, 부분반응은 41.6%와 31.1%였다. 특히 질병조절기간이 29.1개월로 위약군의 5배에 육박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덩달아 이번 연구를 통해 바이오마커의 가능성도 확인됐다.
현재 이 연구에서는 동반진단의 도구로서 종양발현지표인 PD-L1을 활용했는데 50% 이상인 환자가 참여했다. 바이오마커의 기준에 대한 여러가지 논쟁과 더불어 발현수치의 적정성이 화두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연구를 통해 PD-L1과 50%라는 기준은 타 치료시 임상적용 확대지료로 적용할 수 있다는 평가다.
연구를 발표한 존스홉킨스 줄리 브라머 교수는 "1차 치료시 키트루다의 5년 투약 효과는 화학항암제대비 의미있는 개선을 보였다"면서 "특히 중간에 화학항암제 투여군 중 66%의 환자가 크로스오버를 했음에도 전체 생존율을 두배 이상 차이를 보였고, 또한 싱글암에서 보여준 결과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