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회들이 코로나 장기화 상황속에서도 인증의 시험과 우수 의료기관 인증제도를 오프라인으로 강행할 계획을 세우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코로나 상황을 고려해 이를 연기하거나 취소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는 반면 언제까지 미룰 수는 없다는 주장이 맞서며 잡음이 일고 있는 것.
전문과목 학회인 A학회는 최근 2021년도 첫 이사회를 열고 지난해 코로나로 연기된 인증의 제도와 우수 의료기관 인증제도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이 학회는 지난해 3월과 9월 각 인증을 진행할 계획에 있었지만 코로나 대유행으로 인해 1년간 한시적으로 인증을 연기하는 방안을 추진해왔던 것이 사실.
하지만 언제까지 이러한 한시적인 연기를 지속할 수는 없다는데 중론이 모아지며 올해는 오프라인 인증의 시험과 의료기관 현장 평가를 강행하기로 결정한 상황이다.
A학회 부회장은 13일 "일부에서 상황을 보며 한 차례라도 더 연장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지만 언제까지 미룰 수는 없다는 것이 중론이었다"며 "조만간 구체적인 인증 일정과 방법을 고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는 비단 A학회만의 상황은 아니다. 지난해 코로나를 이유로 각종 인증을 미뤄놨던 다른 학회들도 올해는 이를 강행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아가고 있다.
지난해 온라인으로 전면 전환했던 학술대회 또한 마찬가지다. 현재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이어지고 있지만 이미 오프라인 행사를 준비중인 학회가 많다.
대한내과학회를 비롯해 내분비학회, 상부위장관 헬리코박터학회 등이 이미 호텔이나 컨벤션 센터를 대관하고 춘계 학술대회를 준비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
일각에서 우려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아직까지 코로나 확산세가 꺾이지 않은 상황에서 굳이 인증제나 학술 행사를 오프라인으로 강행할 필요가 있느냐는 의견이다.
3개 학회의 인증의 자격을 갖고 있는 B전문과목 학회 이사는 "그렇지 않아도 지난해 소속 학회에서 오프라인으로 인증제를 진행하면서 컴플레인(항의)과 우려가 많았던 것이 사실"이라며 "그러한 상황을 보고서도 오프라인을 강행하는 이유는 다른 곳에서 찾을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결국 학회의 수익 사업을 위해 오프라인 행사를 준비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 온라인 등으로도 충분히 가능한 사업들을 굳이 오프라인으로 진행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 외에는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상당수 학회들은 인증의 시험 응시료료 적게는 30만원에서 50만원을 받고 있다. 한해 시험에 응시하는 인원은 학회별로 다르지만 많게는 100여명이 넘는 실정. 못해도 수천만원의 응시료가 들어오는 셈이다.
오프라인 학회도 마찬가지다. 대한의학회가 각 학회별로 조사한 결과 온라인 학회 진행시 오프라인에 비해 후원 금액 등이 절반 정도에 그친 것으로 분석됐다. 온라인 전환으로 수억원대의 예산이 구멍난 셈이다.
이 이사는 "학회 일을 보고 있는 사람으로서 살림의 어려움을 모르는 바는 아니다"며 "하지만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오프라인 시험과 현장 평가 등을 강행한다면 결국 학회가 수익 사업에 치중한다는 비난을 면하기 힘들다"고 꼬집었다.
그러나 이를 결정한 학회들의 입장은 이와 좀 다르다. 제도의 본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것이다. 또한 이미 다양한 방법으로 충분히 감염 관리를 달성할 수 있다는 근거를 갖췄다는 입장이다.
A학회 부회장은 "이미 코로나 대유행이 진행되던 지난해에도 많은 학회들이 철저한 방역을 통해 무사히 오프라인 학회 등 행사를 치렀다"며 "이에 비해 훨씬 소규모로 진행되는 인증제 등 사업들을 노파심만으로 진행 못할 이유는 없지 않겠냐"고 반문했다.
그는 이어 "우수 의료기관 인증 뿐만 아니라 인증의 제도는 질관리와 표준화를 위해 필수적으로 진행돼야 하는 사업으로 코로나가 언제 종식될지 모르는 상황에 언제까지 미뤄둘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특히 신규 자격을 원하는 기관과 회원들도 많다는 점에서 이를 무시할 수도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