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암 전문의 105명 대상 설문 결과…검사·치료 제각각
|수술 건수 따라서도 치료 달라…"가이드라인 고민해야"
이인복 기자
기사입력: 2021-09-28 05:45:57
가
URL복사
전립선암 수술시 변연양성 즉 수술 절제면 침습에 대한 진단과 치료가 의사별, 기관별로 전혀 다르게 진행되고 있어 이에 대한 표준 지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아직까지 학회 가이드라인 등 단일화된 지침이 없어 진료 패턴 차이가 극과 극으로 나눠지고 있다는 것. 하루 빨리 정제된 연구를 통해 표준화된 지침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을지대 의과대학 비뇨의학과 유택근 교수를 비롯한 성균관의대 등 7개 병원 다기관 연구진은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 후 변연양성에 대한 국내 비뇨의학과 전문의들의 진료 패턴에 대한 대규모 연구를 진행하고 오는 25일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를 통해 이를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2000년에서 2011년까지 이뤄진 대규모 연구를 보면 국내에서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을 받은 전립선암 환자의 최대 23%에서 변연양성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Eur Urol 2014;66(3):450–456).
변영양성이 나타날 경우 암의 재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정설이지만 실제로 생존율과 사망률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상반된 연구 결과들도 나오고 있는 것이 사실.
이로 인해 아직까지 국내에서도 최적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가이드라인 등이 없는 것도 현실이다.
연구진이 비뇨기암을 치료하는 비뇨의학과 전문의 105명을 대상으로 진료 패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실제로 전문의들이 어떻게 진단을 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치료를 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다.
그 결과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의 치료는 주로 로봇 수술이 활용되고 있었다. 전문의 중 57.1%가 로봇을 통해 수술을 하고 있다고 답한 것. 이어서는 개방 치골 접근법이 31.9%로 뒤를 이었고 복강경이 11%로 집계됐다.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 후 변연양성이 나타났을 경우 추가 생검을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74.7%가 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내놨다. 잔존암이 의심되지 않으면 굳이 추가 검사를 하지 않고 있는 셈이다.
변영양성이 나타난 경우 전문의들은 양성 부위의 글리손(Gleason) 점수가 가장 중요한 인자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양성의 위치(18.7%)나 양성 갯수(14.3%), 양성 길이(17.6%)보다 글리손 점수(49.5%)가 더 중요한 예후 인자라고 답한 것이다.
변영양성을 보이는 환자의 차기 치료 전략을 묻는 질문에는 전문의 별로 의견이 많이 갈렸다.
68.1%가 즉각적인 치료 없이 전립선특이항원(PSA) 점수를 보며 지켜본다고 답했지만 나머지 32%는 다양한 답변이 나왔기 때문이다. 의사별로 차기 치료에 대해 다른 고민을 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변영양성 우려가 높은 고위험군 수술시에는 역시 신경보존술을 예외로 두는 경향이 강했다. 75.8%가 신경보존술을 피한다고 답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신경보존술을 시행한다고 답한 24.2% 중에는 300건 이상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 경험이 있는 전문의 비율이 그 이하 전문이 비율보다 높았다. 수술 건수가 많을 수록 적극적으로 신경보존술을 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연구진은 "현재 상당수 전문의들은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 후 변영양성이 나와도 별다른 추가 처치 없이 PSA 수치를 측정하며 지켜보고 있었다"며 "하지만 선행 안드로겐 박탈요법과 수술적 접근 방법, 신경보존술 여부 등에서는 비뇨의학과 전문의들마다 인식과 진료 패턴의 차이가 상당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물론 이 연구가 모든 비뇨의학과 전문의들의 인식을 보여주지는 않지만 현재 비뇨의학과 수련병원이 42개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105명이라는 숫자는 결코 적지 않은 수치"라며 "이러한 차이와 격차 등을 조정하기 위한 정제된 연구와 동시에 표준적인 진료지침 마련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