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술
  • 학술대회

학회-제약사 공동캠페인 봇물...'윈윈 모색'

'행사비 줄고' '홍보효과 높아' 선호, 공정경쟁 신풍속도


정인옥 기자
기사입력: 2005-11-09 06:40:10
남성과·비뇨기과학회의 연극
일부 학회들이 관련 의약품을 제조·판매하는 제약사와 함께 공동 홍보전을 펼치고 있어 주목 받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제약사간 공정 경쟁이 강화되면서 병원 기부가 어려워지자 더욱 두드러지는 분위기다.

9일 의학계에 따르면 간학회는 KBS-FM라디오를 통해 서동진 회장의 음성으로 B형 간염 예방 접종의 필요성을 직접 홍보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제픽스. 헵세라 등을 판매하는 GSK와 함께 '간염바로알기 캠페인'등을 비롯한 '강동석 희망콘서트', '간의 날'의 행사를 열어 간질환 실태조사와 함께 토론회를 가졌다.

뿐만 아니라 간학회는 내년 B형 간염 치료제인 '바라클루드'를 시판할 BMS제약와 공동으로 '간사랑 수기공모전'을 실시하고 있다.

결핵및호흡기학회 역시 '스피리바'를 제조 판매하는 베링거인겔하임과 함께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적극 홍보하기로 했다.

결핵및호흡기학회는 오는 18일 폐의날을 맞아 COPD(만성폐쇄성폐질환) 가이드라인과 대정부 건의문을 발표하고, 공개강좌와 환자 사례 발표 등의 행사를 열어 COPD를 홍보할 예정이다.

남성과학회와 비뇨기과학회 경우 최근 시알리스를 판매하는 릴리와 함께 '새벽 건강 캠페인'을 실시했다.

아울러 오는 16일부터 5일간 바이엘 코리아, GSK, 사노피-아벤티스, 한독약품, 일양약품, 릴리, 쉐링, 아스텔라스제약, 화이자제약, 한미약품 등 총 9개 제약사의 공식 후원으로 '배꼽아래, 이상無!' 연극을 한다.

당뇨병학회와 소아내분비학회도 오는 10일 한국로슈진단 주최로 '소아 당뇨인에게 꿈과 희망을 위한 그림그리기' 행사를 갖는다.

이처럼 학회들이 제약사들과 손을 잡는 것에 대해 학회 관계자는 "사실 학회를 운영하다 보면 비용 부담이 적지 않다"며 "질환과 관련된 캠페인을 할 때 제약사와 같이 하면 홍보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제약사 관계자는 "학회와 관련된 제품을 판매하는 제약사들은 학회에서 실시하는 캠페인이 기회"라며 "캠페인 후원은 제품매출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이런 행사가 계속 늘어난 것"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제약사 관계자는 "학회 후원은 제품 홍보에 큰 도움이 되며, 이미 내년도 예산 중 학회 후원금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특히 제약사간의 공정경쟁이 강화돼 병원 기부가 더 힘들어져 학회 후원으로 몰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 10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 heef*** 2020.09.00 00:00 신고

    먹먹하네.
    의약분업때 당해놓고, 또 당하네. 일단, 코로나 넘기고, 재논의하자. 노력하자.
    추진'강행'은 안해주마. 애초에 논의한 적 없이
    일방적 발표였으니, 재논의도 아닌 거고, 노력이란 애매모호한 말로 다 퉁쳤네. 추진 안 한다가 아니라 강행하지 않는다니,
    (현 정부 꼬락서니를 보면, 관변어용시민단체 다수 동원해, 국민뜻이라며 언론플레이후, 스리슬쩍 통과. 보나마나 '강행'은 아니라겠지.)
    정부 입장에서 도대체 뭐가 양보? 의사는 복귀하도록 노력한다가 아니라 복귀한다고. 욕먹고, 파업한 결과가 참,

    • heef*** 2020.09.00 00:00 신고

      먹먹하네.
      의약분업때 당해놓고, 또 당하네. 일단, 코로나 넘기고, 재논의하자. 노력하자.
      추진'강행'은 안해주마. 애초에 논의한 적 없이

    • heef*** 2020.09.00 00:00 신고

      먹먹하네.
      의약분업때 당해놓고, 또 당하네. 일단, 코로나 넘기고, 재논의하자. 노력하자.
      추진'강행'은 안해주마. 애초에 논의한 적 없이

  • heef*** 2020.09.00 00:00 신고

    먹먹하네.
    의약분업때 당해놓고, 또 당하네. 일단, 코로나 넘기고, 재논의하자. 노력하자.
    추진'강행'은 안해주마. 애초에 논의한 적 없이
    일방적 발표였으니, 재논의도 아닌 거고, 노력이란 애매모호한 말로 다 퉁쳤네. 추진 안 한다가 아니라 강행하지 않는다니,
    (현 정부 꼬락서니를 보면, 관변어용시민단체 다수 동원해, 국민뜻이라며 언론플레이후, 스리슬쩍 통과. 보나마나 '강행'은 아니라겠지.)
    정부 입장에서 도대체 뭐가 양보? 의사는 복귀하도록 노력한다가 아니라 복귀한다고. 욕먹고, 파업한 결과가 참,

  • heef*** 2020.09.00 00:00 신고

    먹먹하네.
    의약분업때 당해놓고, 또 당하네. 일단, 코로나 넘기고, 재논의하자. 노력하자.
    추진'강행'은 안해주마. 애초에 논의한 적 없이
    일방적 발표였으니, 재논의도 아닌 거고, 노력이란 애매모호한 말로 다 퉁쳤네. 추진 안 한다가 아니라 강행하지 않는다니,
    (현 정부 꼬락서니를 보면, 관변어용시민단체 다수 동원해, 국민뜻이라며 언론플레이후, 스리슬쩍 통과. 보나마나 '강행'은 아니라겠지.)
    정부 입장에서 도대체 뭐가 양보? 의사는 복귀하도록 노력한다가 아니라 복귀한다고. 욕먹고, 파업한 결과가 참,

더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