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계를 중심으로 환자식대 수가를 인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006년 급여화된 이후로 한번도 인상이 없었기 때문에 물가와 인건비 인상률 등을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병원 급식 현장에서는 높아진 식재료가에 비해 고정된 식대로 인해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식단이 단순화될 수밖에 없다"
병원 급식 담당자들은 식대 수가가 물가와 인건비 상승률 등이 반영되지 못함에 따라 갈수록 환자에 대한 식사 제공이 어려운 상황에 처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지난 2008년 고환율 등으로 인해 원자재가 상승하면서 덩달아 식재료가격도 폭등하면서 병원들의 부담이 커졌다.
한 대학병원 영양팀 관계자는 "수가를 산정할 당시에는 2004년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한 것으로 안다"면서 "결국 5년간 물가인상률과 인건비 상승률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환자식이다보니 무조건 중국산 저가 재료만을 사용할 수 없도 없는 노릇. 국산 농산물 사용을 주장하는 보건의료노조 등의 요구도 마냥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다보니 들여오는 재료가 한정될 수밖에 없고, 식단도 단순해질 수밖에 없다는게 급식 담당자들의 설명이다.
한 병원 관계자는 "예전에는 중국산 조기가 저가로 들어왔지만, 수입식품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돼 사용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가격으로 인해 한국산 조기를 내놓을 수는 없다"면서 "결국 식단이 단순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가산체계가 달라 치료식 수가가 일반식에 비해 오히려 낮게 책정되는 경우도 있는 등 세부적인 수가 재검토가 필요한 부분도 적지 않다고 입을 모았다.
위탁 급식업체도 '죽을 맛'
위탁 급식업체도 괴롭기는 마찬가지이다. 식자재가 올랐지만 병원에 납품하는 단가는 그대로인데다 오히려 단가를 내려야 하는 상황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한 급식업체 관계자는 "최근 원자재, 유가상승 등 물가인상에도 불구하고 납품단가를 올리지도 못하고 경쟁업체로 인해 단가를 내려야하는 상황에 처해 손실이 쌓여가고 있다"면서 "정부는 물가인상 요인을 수가에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다른 업체 관계자는 "식대 급여화 이후로 물가는 20~25% 인상됐고, 인건비 역시 많이 올랐지만 식대는 그대로"라면서 "규모가 크면 그나마 낫지만 작은 병원일수록 서비스가 나빠지고 있다"고 전했다.
병원측에서는 위탁 급식을 하더라도 병원에서 영양팀을 별도로 운영하는 경우, 가산은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내놓고 있다.
경관급식 시장은 '고사상태'
식대 급여화 이후 경관급식(일명 튜브급식) 시장은 갈수록 축소돼 고사 상황이다.
경관급식의 경우 환자식 4030원에 고정돼 있어, 다른 가산도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경관급식 시장은 위축돼 업체들이 시장에서 철수하는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가장 영양이 필요한 환자에게 제공되는 경관급식이 낮은 수가에 묶여있다 보니, 제도적으로 발전을 막아버린 셈"이라면서 "일부 병원에서는 무균 상태인 경관급식에 일부 재료를 더해 치료식으로 청구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