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산업진흥원이 의료기관평가 국가인증제도를 주도할 게 아니라 대형병원, 병원협회, JCI(미국 국제의료기관평가위원회)까지 공동 참여하는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차근차근 ‘한국형 버전’부터 만들어야 한다”
서울대병원 박노현(산부인과) 기획조정실장은 3일 메디칼타임즈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제안했다.
박노현 기조실장은 국내 상당수 대학병원들이 JCI 인증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는 것과 관련, 다소 상반된 견해를 드러냈다.
그는 “JCI 인증을 받으면 해외환자를 유치하는데 유리한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나라 의료환경과 맞지 않는 것도 있다”고 환기시켰다.
예를 들어 미국은 병원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막대한 인력과 예산을 투입하지만 우리나라는 최소 경비로 최대 효과를 꾀한다는 측면에서 비용효과성이나 경쟁력에서 비교 우위인 점이 없지 않다는 것이다.
그는 “JCI는 미국 병원의 표준”이라면서 “그 나라의 기준을 우리나라에 그대로 적용해 인증을 받는 것은 오히려 비효율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JCI 인증을 받지 않았다고 해서 러시아나 동남아에서 환자를 보내지 않는 것은 아니다”면서 “개별 병원들이 JCI 인증을 받는 것은 낭비적 요소가 있다”고 못 박았다.
이와 함께 그는 “JCI가 우리나라 의료환경에서 배울 게 분명히 있지만 연구가 충분치 않는 점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박노현 기조실장은 JCI와 같은 한국형 의료기관평가 버전을 만드는 게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주문했다.
특히 박노현 기조실장은 “의료기관평가 국가인증제의 주도권을 보건산업진흥원이 행사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 “과거 복지부가 의료기관평가를 일방적으로 추진한 결과 병원계의 반발을 불러왔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환경에 맞는 의료기관평가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보건산업진흥원과 서울대병원을 포함한 3~4개 대형병원, 병원협회가 참여하는 TFT를 구성해 2~3년간 차근차근 준비하자는 것이다.
또 그는 “미국 JCI가 상업적이긴 하지만 비영리기관인 만큼 TFT에 참여하도록 해 과학적인 의료기관평가 노하우를 배울 필요도 있다”고 피력했다.
중소병원 역시 대형병원과 다른 별도의 평가기준을 만들어야 한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박노현 기조실장은 “정부가 태스크포스팀에 예산을 지원하고 민관이 공동으로 한국형 의료기관평가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장래를 위해 유리하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