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개발사업 등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늘고 있지만 이러한 예산이 대학 등에만 너무 집중돼 있어 기업발전을 막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여재천 상무는 11일 '국내 제약산업 발전방향 리뷰'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기업투자를 통한 산업발전의 방향에 대해 제언했다.
여 상무는 "국내 제약기업들은 글로벌의약품 시장진출을 위해 다국가 임상시험을 실시하고 있지만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다"며 "실제로 상당수 기업들이 금융권 융자는 물론, 연구자금 확보를 위해 전임상단계에서 해외에 기술수출을 시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정부지원은 원천기술 확보에만 집중돼 있어 혁신형 제약기업들이 성장하는데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는 것이 여 상무의 설명이다.
여재천 상무는 "1993년 131억원으로 시작한 제약산업 정부지원액 규모가 2005년에는 1497억 규모로 크게 성장했다"며 "하지만 이중 1000억원 이상이 대학에 지원됐으며 나머지 400억원만이 제약기업의 연구개발사업에 투자됐다"고 분석했다.
이어 "이렇듯 정부 예산이 신약개발의 기초분야 및 시설에만 집중되면서 실제로 신약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혁신형 제약기업들에 대한 지원효과는 매우 미비한 것이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특히 국내 제약기업들이 연구력을 집중하고 있는 저분자화합물 유래 신약개발이 정부의 지원정책에서 철저히 소외돼 있었으며 업계가 건의할때만 그때그때 약간씩 지원할 정도로 헌신짝 취급을 받아왔다"고 비판했다.
이에 따라 그는 정부가 신약개발에 대한 정책방향을 수정해 사업화가 가능한 기술에 예산을 투입해야 제약산업의 진정한 발전을 이뤄낼 수 있다고 제언했다.
여 상무는 "정부가 생각하는 방향이 글로벌 제품을 개발하고 선도기업의 글로벌 성공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라면 사업화로 직결되는 기술에 예산을 집중 지원해야 한다"며 "국내 제약기업들이 보유하고 축적해온 단, 중기적인 개량신약과 저분자화합물신약개발, 장기적 바이오신약 개발 순으로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어 "또한 제약기업들은 신규 신약타겟에 대한 최초신약 개발과 기존신약 타겟에 대한 최고 성능 신약을 전략적으로 검토해 사업화 방향을 선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아울러 다국적 제약기업과 효율적인 업무제휴 방안을 찾고 틈새시장을 공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충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