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사원 출입 금지, 처방 내역 안주기 등 의료계가 리베이트로 의심받을 수 있는 오해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총동원하고 있지만, 이를 보는 제약사들은 회의적 입장이 많다.
바퀴벌레를 완전 박멸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처럼, 이런 갖가지 방법에도 편법이 등장, 리베이트가 다시 활개칠 거라는 것이 이들의 솔직한 견해다.
국내 상위 A사 관계자는 18일 "최근 영업사원 출입 금지령이 유행처럼 퍼져나가고 있고, 관례적으로 해왔던 처방 내역서 발급도 일부 병의원에서 곤란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지만, 일시적 현상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단정했다.
그는 이어 "바퀴벌레를 완전 박멸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의료계와 제약사 간에 형성된 리베이트라는 고리는 너무나 달콤하기 때문에 뿌리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한마디로 최근 의료계가 진행하는 쌍벌제 관련 행동들이 나중에는 흐지부지될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국내 중소 B사 관계자도 "최근 상위제약사들이 리베이트 영업을 주저하고 있지만, 반대로 중소제약사들은 '지금이 기회'라는 인식이 자연스레 형성돼 있다"며 "편법은 편법을 낳게 돼 있다"고 확신했다.
이 관계자는 "의료계도 리베이트 안 받으면 손해 아니냐"고 되물었다.
특정제약사 불매운동에 대해서도 한마디했다.
국내 상위 C사 관계자는 "한마디로 (의사들의 행동에) 정당성이 없다"고 일축한 뒤 "특정 제약사로 지목받는 회사가 무슨 잘못이 있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국내 중소 D사 관계자도 "무심코 던질 돌에 개구리 맞아죽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의료계에서 불고 있는 영업사원 병의원 출입금지는 현재 16개 시도의사회 중 5곳이 참여한 상태다. 경남도, 대전시, 경기도, 충남도, 경북도의사회가 그곳이다.